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미르 티무르의 동방 원정과 몽골제국의 후예들 (Eastern Expedition of Amir Timur and Descendants of Mongol Empire)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2.03
44P 미리보기
아미르 티무르의 동방 원정과 몽골제국의 후예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보 / 253호 / 411 ~ 454페이지
    · 저자명 : 이주연

    초록

    명과 티무르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그간 양국 간의 직접적인 상호 접촉 기록에 집중하여 이루어졌다. 그러나 양국 사이에는 명의 위소로 편성되어 있으나 고도의 자치를 누리는 여러 티베트, 몽골, 투르크계 부족 세력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몽골제국의 후속 세력이다. 명의 홍무제는 1387년에 티무르의 사신을 맞이하기 전부터 서북 변경에서 이 세력들과 십 수 년 간 접촉했으며 결국 그는 서북의 제 세력이 이들과 비슷할 것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결국 그는 사마르칸트의 부마티무르가 파견한 사신에 대해서도 비슷한 관점으로 접근했는데, 사실 그를 찾아왔던 사마르칸트의 사신은 사실 명의 서북 변경과 그 너머에 거주하고 있던 회회 상인들이었다. 이들은 홍무제의 의심을 피하기 위해 티무르의 서신을 과장되게 번역하는 등 양국의 표면적인 우호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는데 이것이 오히려 오해를 키워 결국은 티무르의 분노와 원정을 야기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티무르는 명 외에도 몽골리아 초원을 또 다른 원정의 목표로 삼았다. 그가 원정 직전까지 동반했던 보냐시리는 칼막에서 탈출하여 티무르에게 귀의했던 인물이며 티무르 사후 다시 몽골리아 초원으로 귀환했다. 그의 경력과 귀환 경로, 그리고 당시 티무르조와 동부 세력과의 관계를 종합해보면, 티무르가 후원하여 킵착 초원으로 되돌려 보냈던 툭타미시 칸을 연상케 한다. 티무르가 마와라안나흐르 북쪽으로 맞닿아 있는 조치 울루스의 우루스 칸을 몰아내기 위해 툭타미시를 킵착 초원의 입구인 시그나크로 파견했던 것처럼, 알타이 산맥을 사이에 두고 모굴리스탄 초원과 맞닿아 있었던 오이라트의 잠재적 위협을 무력화하기 위해 보냐시리를 몽골리아 초원의 입구인 에지나로 파견하고자 했던 것이다. 15세기 초 동아시아에서는 이처럼 명과 오이라트, 동몽골과 티무르의 이중적 遠交近攻 구도가 형성되어 충돌 일보직전까지 이르렀으나, 티무르 사후 내분의 시기에 명이 동몽골을 공격하는 틈을 타 오이라트의 세력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명과 티무르조의 갈등은 우호관계로 급히 선회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first Timurid envoy to Ming arrived at 1387, and it was considered as a tributary envoy. Ming thought that Samarkand has been one of the many cities in the former Chaghatayid Ulus, and the ruler of Samarkand, Amir Timur Kuregen (the “Son-in-law in Royal Family”) was similar to the former Yuan princes who live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China. On the other side, Timur use all his effort to conquer Central and West Asia at that time, so it was difficult for him to figure out all the behavior of Muslim Tajik merchants. So they did not notice that Ming thought them as a vassal.
    Their relations was strained in the early 1390s when Ming tried to limit the opportunity of mutual trade to Muslim merchants who wanted to enter the Jiayu Passage. After that, Samarkand envoys from 1391 to 1394 were certainly those who were sent from Timur. Especially in 1394, the envoy brought Timur’s letter, which contained certain elements that expressed adherence to the Chinese world order. In reality, the letter that arrived at Jiayu Passage, already had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Therefore, some persons among envoys took part in the translation desperately wanting to maintain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country. Anyway, Hongwu immediately sent envoys with reply and several presents. But then later, his envoys were also detained in Timurid, and Timur planned to conquer the east and actually initiated an expedition in 140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