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폭력 피해 여성들의 ‘성장(thriving)’ 경험의 의미 (On the Meanings of Thriving Experiences through Sexual Violenc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4.12
23P 미리보기
성폭력 피해 여성들의 ‘성장(thriving)’ 경험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19권 / 4호 / 409 ~ 431페이지
    · 저자명 : 공춘옥, 김봉환

    초록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여성들에게 ‘성장(thriving)’이란 무엇인가를 알아봄으로써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여성들에게 있어서 ‘성장’ 경험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20대에서 40대의 여성으로 일정기간 상담이나 프로그램 참여를 한 사람으로서 눈덩이표집방식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현상학의 반 매넌(van Manen)의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참여자의 경험의 의미에 집중하고 경험한 그대로의 탐구와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및 글쓰기를 하였다. 연구과정 중에 수집된 다양한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할 때도 현상학적 연구자의 자세를 유지하며 성폭력 피해에 있어서 성장 경험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6개의 상위 주제와 19개의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6개의 상위 주제는 <치유의 변주곡 연주하기>, <외상의 기억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자경(自敬)하기>, <타인, 세상과 온전하게 소통하기>, <원하는 생애사 건축하기>, <또다른 성장을 향해 나아가기>로 나타났다. 성폭력에 있어서 외상을 통한 ‘성장’에 관련된 질적연구가 초기단계인 상황에서 외상을 통한 ‘성장’의 경험을 자세하게 기술하여 어떤 측면에서 역량이 강화되고 삶을 더 성숙하게 살게 되었으며, 남아있는 과제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볼 수 있었다. 또, 상담 장면에서도 내담자의 증상에 함몰되지 않고 내담자가 갖고 있는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믿으며 상담에서 앞으로 나아가야할 목표, 방향성을 찾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영어초록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meanings of thriving experiences after sexual violence with detailed description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six women who are in their 20th to 40th. They participated counseling or special programs for sexual violence victims for certain periods. The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December 2011 to May 2014. During the period, I had one or three tim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participant. The access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through snow balling, the personal acquaintances of mine, or introductions by my acquaintances. In my analysis, the six overarching themes and nineteen specific themes have come up with from the interviews. The higher themes are <playing the variations of healing>, <free from the traumatic memories>, <self-respect>, <communication wholly with others and the world>, <construct the life histories as one hope>, <to move forward for thriving experience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ositive and thriving experiences after sexual abuse within the psychological framework. Heretofore,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thriving experiences after sexual abuse is at the early stage of discussions and research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In addition, the research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counselors to believe in the resilience of clients, not to be diverted by the symptoms of clients, rather firmly seeking the goals and directions of counseling in the consultation scen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ose who have contemplated for a long time about their sexual abuse experiences and participated social activism which provided them the opportunities to empower themselves. I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hose who only have taken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results would reveal different aspects of experi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