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적 현대성(화)을 위한 철학적 단상들 (Philosophical Predictions for Social Modern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9.03
26P 미리보기
사회적 현대성(화)을 위한 철학적 단상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감성연구 / 18호 / 63 ~ 88페이지
    · 저자명 : 박구용

    초록

    이 글은 사회적 현대(현대화, 현대성)의 이름으로 휴머니즘의 기획을 실현해야할 이유를 찾고자 한다. 끝없이 갱신되어야할 미래의 휴머니즘은 더 이상 ‘유럽에서 교육받은 성인 백인 남성’을 인간의 기준으로 설정할 수 없다. 비판을 통해 지속적으로 재구성되는 현대의 기획은 모든 사람이 역할과 지위에 상관없이 자유롭고 자연스레 사는 것이 가능한 사회를 지향한다. 자유와 자연이 함께하는 삶은 신체적이면서 사회적인 삶을 구성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획이어야 한다.
    아직 완결되지 않은 현대의 기획이 추진되려면 주체와 주체가 만나서 소통하고 연대하는 사회가 두텁게 구성되어야 한다. 상호주체로서 시민과 그들이 형성하는 사회가 없는 현대성(화)은 텅 빈 관념이거나 이미 지나간 현대의 반복 재생산일 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한국이라는 맥락 위에서 사회적 현대성(화)의 활성화를 위한 철학적 단상들의 조각을 모아서 공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탈현대와 공존할 수 있는 현대를 위한 생각들을 정리한 다음(1), 근대화가 아니라 현대화를 말해야 하는 이유를 해명하고자 한다(2). 여기서 나는 현대가 아직 실천적 이념으로 한국에서 소화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마지막으로 나는 ‘세월호’를 통해 사회적 현대화가 갖는 실천적 의미를 되묻고자 한다(3).

    영어초록

    This article seeks to find the reason to realize the plan of humanism in the name of social modernity(modernization, modernity). Future humanism, which has to be renewed forever, can no longer be set as a human standard for ‘adult white male educated in Europe’. Modern planning, which is constantly reconstructed through criticism, aims at a society where everyone can live freely and naturally regardless of their roles and status. Life with liberty and nature should be a plan that can organize and practice a physical and social life.
    In order for the modern planning that has not yet been completed to be pursued, the society in which the subject and the subject meet, communicate and solidarity must be made thick. Modernity(modernization) without citizens and the society they form is either an empty idea or only a repetitive reproduction of the past. Therefore, I would like to collect and share pieces of philosophical views for activating social modernity(modernization) in the context of Korea. To this end, I first summarize the ideas for modernity that can coexist with the postmodern(1), and explain why modernization/geundaehwa is not modernization/hyeondaehwa(2). Here I hold the position that modernity has not been digested in Korea as a practical ideology. Finally, I want to reconsider the practical meaning of social modernization through ‘Sewolho’(3).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