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영희․임화 비평의 사유 체계와 인식소들 (The thinking system and recognition factors of Park, Young-hee and Im, Hwa’s criticism)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8.09
46P 미리보기
박영희․임화 비평의 사유 체계와 인식소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62호 / 95 ~ 140페이지
    · 저자명 : 이도연

    초록

    본고는 박영희와 임화 비평에 나타난 사유체계의 얼개와 그 인식론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마르크스주의(비평)의 중핵적 인식소로서 객관적 존재와 주관적 의지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장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박영희 비평의 전반적 혼선은 양자 간의 균형감각의 상실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았다. 어떤 면에서는 박영희의 비평적 본질은 전혀 변하지 않았다고 말할 수도 있을 듯하다. 그것은 박영희의 비평이 일관된 주관적 의지의 산물로 여기지는 때문이다. 결국 그는 자신이 속해 있는 경험적 현실에 대한 객관적 인식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비해 임화 비평은 객관과 주관의 변증법적 통일을 지향하는 사유의 모험을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실천하고자 노력했던 것으로 보인다. 3장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임화 비평의 사유의 원천과 인식론적 지반은 낭만적 정신으로 표상되는 주관적 의지의 구상력(構想力) 및 정신의 합목적적 실천 활동이었다. 그리고 이는 낭만주의와 사실주의의 길항관계 속에서도 변함없는 비평의 원리로서 임화의 사유 전반을 지탱하는 거멀못으로서 기능하였다. 이와 같은 양상은 해방 이후의 비평에까지 연면히 이어지는데, 특히 1930년대 후반기는 임화 비평의 진경이 펼쳐지는 순간들로 기억돼야 마땅할 것이다.
    마르크스가 거듭 강조했던 것은 인식의 주관적 활동보다는 경험적 현실의 역사적 구체상이였다. 역사유물론을 통해 ‘추상’에서 ‘구체’로 진입하고자 했던 마르크스의 진의 또한 여기에 놓여있다 하겠다. 가령 마르크스의 대표작 『자본론』의 구성 체계를 통해 이러한 마르크스의 기획과 의도는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마르크스가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했던 곳은 어떤 원리로도 환원될 수 없는 사실들의 세계이자 광활한 대지로서 ‘현실’ 그 자체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점들에서 카프비평사의 역사적 실패의 기록은 다시금 반추될 여지가 있으며, 그 과정의 내적 논리들 또한 식민지 조선의 경험적 현실을 기반으로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mpared and reviewed the identification of the thinking system shown in the review of Park, Young-hee and Im, hwa. It was a medieval recognition center for Marxis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existence and subjective will. As discussed in chapter 2, the overall confusion of Park Young-hee's criticism was attributed to the loss of a sense of balance between the two. In some ways, it is possible to say that Park's critical nature has not changed at all. That's because Park's comments are seen as a product of consistent subjective will. In the end, he is judged to have failed to reach an objective perception of the empirical reality he is involved in.
    On the other hand, Im, hwa's criticism seems to have been trying to consistently carry out the adventures of the thinking, which pursues the dialectical unification of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As discussed in Chapter 3, sources of cause and recognition theory of clinical criticism were the exercise of the conceptual power and purpose of the mind represented by the romantic spirit. And it served as a principle of unwavering criticism in the context of romanticism and realism, a long way from sustaining the whole cause of pregnancy. This aspect continues to the post-liberation criticism, especially in the late 1930s, when the reality of the forestry criticism unfolds.
    Marx's repeated emphasis was not on subjective activities but on historical aspects of empirical reality. Marx's thought, who wanted to move from ‘abstract’ to ‘concrete’ through historical materialism, is also here. Marx's plans and intentions can be understood, for example, through the framework of Marx's representative work, Capital. After all, it would be fair to assume that the place where Marx ultimately wanted to reach was a reality itself as a world of facts and vast land that cannot be redeemed by any principle. In this regard, the record of KAPF's historical failure is likely to be reversed again, and I think the internal logic of the process also needs to be reconstructed based on the empirical reality of colonial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