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년여성의 귀환과 탈가부장의 징후들 (The representations of old women and The possibility of violating the patriarchal system)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8.04
45P 미리보기
노년여성의 귀환과 탈가부장의 징후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논집 / 82호 / 133 ~ 177페이지
    · 저자명 : 김경연

    초록

    이 글은 청년을 인간의 표준으로 결정하고 미개인, 광인, 여성과 더불어 노인을 비인간으로 축출한 근대 휴머니즘의 폭력적 메커니즘에 주목하면서, 젠더적 관점에서 노년을 재독하고자 했다. 젠더, 인종, 계층/계급에 따라 노년을 살아가는 경험은 다르며, 때문에 이러한 차이를 간과한 노년 연구란 부분적이며 추상적일 수밖에 없다. 노년을 젠더의 관점에서 읽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가부장적 자본주의 체제를 살아온/가는 노년여성들의 삶이 남성노년들과 같을 수 없으며, 중산층 여성노인과 가난한 박카스 할머니의 현실이, 혹은 칠십의 나이에 일본군 위안부였다는 사실을 증언한 김학순이나 밀양 송전탑 투쟁의 최전선에 서는 여든 일곱 김말해의 노년이 침묵하는 노년여성들의 삶과 같을 수는 없다.
    이 같은 복수의 노년여성들의 실존을 상기하면서 본고는 노년의 여성들을 재현하는 여성서사에 주목했다. 남성중심적인 문학의 주변부에서 거대/주류 서사가 누락하거나 은폐한 여성/타자들의 삶을 미시적으로 천착한/하고자한 것이 여성문학이라면, 노년여성의 억압, 침묵, 분투를 가시화한 여성서사를 통해 가부장적 자본주의 체제를 이반하는 노년여성의 재현 가능성을 탐사해 보는 일은 유의미할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노년여성들의 삶을 기록/재현한 서사물의 계보들, 특히 청년의 시대였던 근대의 여성문학 속에서 여성노인들이 재현되는 양상에 주목하였다. 전통적인 가부장제와 대결하면서 새로운 집의 발명을 열망했던 근대 청년여자들의 서사는 근대가 배제하거나 누락한 노년여성의 삶을 가시화하는 한편, 전근대 가부장들이 상상한 '헌신적인 어머니'와 근대 청년들이 매도한 '혐오스러운 노파'와는 변별되는 이질적인 어머니/할머니들을 조형했다. 그러나 이 차별화된 재현에도 불구하고, 문학을 통한 근대적 가치의 전파가 신여성 작가들의 욕망이자 사명인 이상 노년여성들의 삶을 부조한 경우는 드물었으며, 더구나 어머니/할머니라는 젠더 역할을 국한되지 않는 개별적 욕구를 지닌 인간으로서 노년여성의 삶을 천착한 경우는 거의 부재했다.
    그렇다면 근대의 황혼이 도래하고 전지구적 노후의 시간을 살고 있는 지금 이 곳의 여성작가들은 다시 노년과 젠더의 문제를 어떻게 사유하고 있을까. 이 글은 근대 청년여자의 서사에 이어 신경숙, 김숨, 권여선 등 87년 이후 집의 혁명을 추동하고 자본주의 가부장제의 전복을 열망했던 이른바 386세대 계보의 여성작가들의 소설 속에서 노년여성의 삶이 재현되는 양상을 살폈다. 그들이 다시 쓰는 늙은 여자들의 이야기 속에서 가부장제가 발명한 숭고한 어머니/할머니는 더 이상 매끄럽게 관철되지 않는다. 어머니/할머니가 아닌 단지 '이모'로 늙어가는 <이모>(권여선)의 '윤경호'는 물론이고, 어머니/할머니라는 젠더 호명에 복종하며 살아왔던 <엄마를 부탁해>(신경숙)의 '박소녀'나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김숨)의 '정순자' 역시 더 이상 "길들여진 좌절의 협조자"로 남지 않는다. 실종을 빌어 가부장의 집으로부터 탈주하고(박소녀), 자기를 멸함으로써 모성으로부터 해방되고자 하며(정순자), 가족/세상과 절연하고 고유한 '나'로 말년을 살아가는(윤경호) 그들은 세상과 화해하기보다 불화하며 가부장제가 가공한 사랑과 행복의 집에 은폐되었던 폭력과 슬픔을 적발하는 불길하고 불온한 모성/여성이 된다. 집/친밀성의 오랜 수호자였던 이들 늙어가는 여자들을 통해서 아이러니하게도 친밀성의 판타지는 내파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ed to reperuse the elderly life from gender perspective,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violent mechanism of modern humanism that defined youth as the human standard and inhumanely ousted the elderly in the same way as barbarians, madmen and women. The experience of the elderly life varies among different genders, ethnicities and social classes. For this reason, studies on the elderly life that overlook such differences are partial and abstract. This is the very reason why the elderly life must be interpreted from gender perspective. Lives of elderly women who lived or are living in patriarchal capitalism cannot be identical to lives of elderly men. The reality of an elderly middle class woman cannot be the same as the reality faced by a poor elderly prostitute. Recalling the existence of such diverse lives of elderly women, this paper focused on the female narratives reproducing elderly women. If women’s literature attempted to inquire microscopic lives of women or the others either omitted or concealed by the major or mainstream narratives in the peripherals of the male-centered literary world, it would be a meaningful effort to explore the reproducibility of elderly women deserting from the patriarchal capitalism through the female narratives that visualize the oppression, silence and struggle of elderly women. As a part of such effort, the author of this study examined the genealogy of narrative works that recorded or reproduced lives of elderly women, especially the ways in which elderly women were reproduced in modern women’s literature from the era of youth. Narratives of young modern women who longed for new finding of home and confronted the traditional patriarchy visualized lives of elderly women either excluded or omitted by the modern world, while on the other hand shaping new mothers and grandmothers who are differentiated from ‘devoted mothers’ imagined by the pre-modern patriarchs and ‘hateful old women’ denounced by modern youths. Despite such differentiated reproduction, it was rare to find works that depicted lives of elderly women because the desire and mission of modern female authors were to spread modern values through literature. Furthermore, there was almost complete absence of works that viewed lives of elderly women as human beings with their own needs instead of constraining them to the gender role of a mother or grandmother. As the entire world is welcoming the dusk of the modern era with global aging, how are female authors of the contemporary world dealing with the elderly and gender issues? This paper examined the ways in which lives of elderly women were reproduced in novels written by female authors of the so-called 386 generation who drove household revolution and wished for overturn of the patriarchal capitalism since 1987, such as Kyung-sook Shin, Soom Kim and Yeo-sun Kwon. In the midst of their stories about old women, the noble mothers and grandmothers invented by patriarchy are no longer found to be a matter of course. ‘Gyeong-ho Yoon’ in “Aunt” (Yeo-sun Kwon) simply grows old as an aunt instead of a mother or grandmother. ‘So-nyeo Park’ in “Please Look After Mon” (Kyung-sook Shin) yields to the gender-bound nicknames like mother and grandmother. ‘Soon-ja Jeong’ in “Women and Their Evolving Enemies” (Soom Kim) no longer remains to be a tamed helper of frustration. She runs away from patriarchal home as if she has gone missing (So-nyeo Park), she tries to be freed from maternity by destroying her existence (Soon-ja Jeong) and she lives an independent elderly life isolated from her family and the world (Gyeong-ho Yoon). These figures become unfortunate and rebellious mothers or women who confront the world instead of reconciling with it, revealing the violence and sorrow concealed underneath fake love and happiness created by patriarchy. The fantasy of intimacy is ironically imploded by these aging women, who have long been the guardians of their home and intima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