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러일전쟁 전후 일본 혁명가들의 톨스토이 수용 양상 (Reception of Tolstoy by the Japanese Revolutionaries before and after the Russo-Japanese War)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5.05
34P 미리보기
러일전쟁 전후 일본 혁명가들의 톨스토이 수용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72권 / 2호 / 89 ~ 122페이지
    · 저자명 : 임경화

    초록

    러시아와 일본은 모두 비서구 후발자본주의국가로서 강력한 군국주의에 기반한 대외팽창정책을 추진하여 사회 모순을 극복하고자 했다.
    따라서 서구 문명을 비판하고 군국주의에 저항했던 톨스토이의 사상은특히 러일전쟁을 전후한 시기에 양국의 혁명가들에게 다대한 영향을미쳤다. 그중에는 톨스토이 사상에 심각한 모순을 느끼고 대치하면서그것을 디딤돌로 삼아 무정부주의로 향한 고토쿠 슈스이 등과, 톨스토이를 발판으로 삼아 레닌주의를 심화시켜 갔던 레닌이 있다. 고토쿠 등은 일본의 초창기 사회주의운동을 대표했고, 레닌은 소련사회에 톨스토이를 기념하는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양국 혁명가들의 톨스토이 전유 방식의 전형을 읽어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동시대에 전개된레닌의 톨스토이 비판을 염두에 두면서, 일본 초기 사회주의자들의 톨스토이 수용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사회주의운동 초기 일본에서 톨스토이의 절대평화주의에 기초한 친사회주의적 주장은 합법 정당을 추구했던 사회당 이미지 구축에 유효했다. 이들은 비전론을 주장하면서 톨스토이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하지만, 러일전쟁에 대한 톨스토이의 비판이 일본에 소개되자, 그들은 개인적인 종교성의 회복에 기초한 사회의 근본 개조를 주장하는 톨스토이의 주장이 사회체제의 변혁에 기초한 정의의 실현에는 심각한 한계를 지녔다고 보았다. 이 인식은 레닌에게도 보였다. 또한 러시아혁명을거친 후로는 톨스토이의 무저항주의에 대해서도 비판이 가해졌다. 이것은 고토쿠 그룹이 혁명을 경험하면서 무정부공산주의와 직접행동으로 사상적 전환을 이루는 흐름과 연동되어 있었다. 레닌도 러시아혁명패배의 최대 원인을 톨스토이의 무저항주의에서 찾았다. 그러면서도, 톨스토이의 사상에는 전형적인 농민혁명가로서의 부정적인 면과 함께, 착취 없는 사회주의적 사회를 창조하려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고 보고, 후자에서 톨스토이의 역사적 의의를 찾으려 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대역사건으로 혁명가들에 대한 혹독한 탄압이 가해져 톨스토이주의의급진적인 부분의 수용도 종언을 고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will shed light on the reception of Tolstoy by Japan’s early socialists while having in my mind the chronologically overlapping criticisms against Tolstoy made by Lenin. At the early stage of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ist movement in Japan, Tolstoy’s seemingly pro-socialist stance based on absolute pacifism was instrumental in making the image of a socialist party striving to obtain the opportunities for legal activity. The socialist anti-war position was also seen as “Tolstoyist”.
    However, as soon as Tolstoy’s criticisms of the Russo-Japanese War became known in Japan, the local socialists could not help sensing serious limitations in the possibilities for the realization of basic societal reforms and social justice inside the Tolstoyist framework of society’s rebuilding based on the revival of personal religiosity. The same skeptical attitude can be seen in Lenin’s criticism of Tolstoy. Following the course of Russia’s 1905-07 revolution, Tolstoy’s “non-resistance” became a target of criticisms as well. Concomitantly, Kōtoku’s group evolved into anarchists following the Russian revolutionary events, and embraced anarchic communism and the method of direct actions. Lenin, at the same historical moment, found a reason for the 1905-07 Revolution’s defeat in the peasant “non-resistance” articulated by Tolstoy. However, Lenin also found that “Tolstoyism”, together with negative features typical for peasant dissenters, exhibited such a positive quality as willingness to build a socialist society free from exploitation. The latter was to be considered to be Tolstoy’s historical contribution. In Japan, however, as revolutionaries were cruelly suppressed during and after the “High Treason” trials of 1911, Tolstoy’s radicalism was now to be hidden away from the public’s ey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