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스 커뮤니티 관점에서의 박물관 전시와 쟁점들 (Museum Exhibitions and Issues from the Point of View of Source Communit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6.05
31P 미리보기
소스 커뮤니티 관점에서의 박물관 전시와 쟁점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경영연구 / 38호 / 211 ~ 241페이지
    · 저자명 : 조성실

    초록

    본 연구는 박물관 전시에 있어서 소스 커뮤니티 관점의 등장과 배경이 어떠했는지주로 서구의 박물관 흐름을 짚어보면서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이에 소스 커뮤니티관점의 태동과 관련한 박물관계의 지각변동을 후기식민주의 담론, 전시구조(전시주체와 객체 간의 관계)의 문제, 전시의 다원화와 다양성, 역사인식과 주체성의 문제, 전시재현 등 다각도로 접근하여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과정에서 필자는소스 커뮤니티 전시와 관련된 박물관을 답사하거나 기존 논문을 검토하는 등의 연구방법을 취하였다.
    박물관 전시에서의 소스 커뮤니티적 관점은 북미의 인류학박물관을 주축으로 후기식민주의 담론에 힘입어 생성·성장하였다. 인류학자 제임스 클리포드는 소스 커뮤니티와의 협업을 통한 박물관 운영에 관여하며 전시주체와 객체에 대한 성찰적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그는 양자 간 호혜성의 문제를 제기하면서 소스 커뮤니티와의협업이 그리 녹록치 않음을 언급, 이에 대한 박물관계의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한편 유럽의 경우 소스 커뮤니티라는 용어가 박물관 경영이나 학문적 성과에직접적으로 등장하지는 않으나 ‘소스 커뮤니티적 관점’을 근간으로 하는 움직임은신박물관 시대 이후 꾸준히 있어왔다. 특히 에코뮤지엄 개념은 ‘사람’과 ‘공동체’에대한 강조를 중요시하며 새로운 전시담론으로 부상, 전시의 다원화와 다양성을 이끌었다. 소스 커뮤니티 관점에서의 박물관 전시는 새로운 역사인식 즉 역사의 주체성을 강조하고자 하는 학문적 풍토에서 더 빛을 발했다. 이 같은 역사인식은 기존 박물관 자료의 재해석과 공동체의 ‘목소리’를 중요하게 여기며 포스트박물관 시대를열었는가 하면, 박물관 전시재현에 있어서 타문화의 해석을 소스 커뮤니티 관점에서시도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e point of view of source community. First this study tried to find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factors of formations on source community in operation of museums. Source community is related with the museum paradigm produced by the new thought generated in western society in the 1980s such as post-colonialism. North American museums, especially led progresses of a viewpoint in source communities - Native Americans participants. They reflected on ‘Otherization’ in period of imperialism, and attempted to collaborate with Natives. In Europe, when the ‘new museology’ theory appeared, there was a big wave of change in the planning of exhibitions. The changes occurred in these two areas-North America and Europe had different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ir terms were not identical but under the change they had the common premise in trying to manage exhibitions that focused on ‘people’ and the ‘community’. In the socio-cultural flow, the appearance of source community was a critical role to form a new frame in exhibition.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exhibition about the source community participants. The museum with source community tried to produce exhibitions standing for native people’s position and focusing on native people’s voice. These changes pulled down the vertical power structur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exhibition that was formed in the time of imperialism, and their correlation became an important factor in museum exhibition.
    Nevertheless this study judged that this new viewpoint has some problems in proceeding the actual exhibition. Especially the problem of reciprocity can occur at any tim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an exhibition. It sometimes gets concerned that there would be conflicts between them and the exhibition manager on different opin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