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일헌법의 이념적 기반과 제정의 원칙들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Unification Constitution and The Principles of Its Enactmen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8.12
29P 미리보기
통일헌법의 이념적 기반과 제정의 원칙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76권 / 63 ~ 91페이지
    · 저자명 : 박민철

    초록

    세계사적 지평 속에서 분단국가들의 통일은 ‘최소’ 분단국가들의 헌법 개정으로부터, ‘최대’ 통일국가의 새로운 헌법의 제정까지를 필수적으로 요구해왔다. 독일통일은 서독기본법 제23조의 편입조항에 의해 규범적으로 실현될 수 있었고, 예멘통일은 남북예멘이 서로 합의하여 통일헌법을 채택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었다. 한반도 통일과 헌법을 연관시킨 연구들의 활발한 전개 역시 이러한 1990년대 동서독과 남북예멘의 통일국가 수립이라는 계기들로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독일 통일의 사례가 우리에게 결코 선도적 모델이 될 수 없다는 평가는 이미 일반적이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통일헌법의 이념적 기반과 원리 등에 대한 모색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 논문은 통일헌법의 가치와 근본이념, 나아가 통일헌법 제정의 방법론적 원리를 다루고 있다. 여기에는 통일헌법이 도래할 미래의 공동체를 만들어갈 수 있는 수행적 힘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들에게 실천적 규범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믿음이 전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통일헌법의 가치지향은 ‘과정으로서의 통일’과 ‘정치적 주체의 복원’이라는 과제를 수행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통일헌법의 근본이념은 이념적 포용력을 갖춘 ‘민주주의 그 자체’가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통일헌법 제정의 방향성은 분단체제의 직접적인 폭력과 적대적인 공생관계 속에서 고통 받은 주권자들에 대한 ‘치유’ 및 그것의 재발에 대한 철저한 반대지향을 선포해야 한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In world history, unification of the divided nations has been requisitely required from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minimal' divided nation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Constitution of the 'maximum' unified nation. The unification of Germany could be realized normatively by incorporation clause under Article 23 of the Basic Law of West Germany(Grundgesetz für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And unification of Yemen could be completed by adopting the Unification Constitution with mutual agreement between South and North Yemen. The active development of studies related to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onstitution also began in the 1990s as opportunitie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unified nation of East-West Germany and South-North Yemen. However, it is already common that the case of reunification of Germany will never be a leading model for us. Therefore, What is important is that consideration about the ideological bases and principles of the Unification Constitution should be sought first.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deals with the value and root idea of the Unification Constitution, and, moreover, its methodological principles for the enactment of the Unification Constitution. It is assumed here that the Unification Constitution has the practical power to create a community of the future, and it can provide us with practical norms. To put it concretely, the axiology of the Unified Constitution has meaning to carry out the task of 'unification as a process' and 'restoration of political subjects'. Also, the root idea of the Unification Constitution should be 'democratic itself' with ideological tolerance. Finally, the direction of the enactment of the Unification Constitution is that it should declare “healing” and its thorough prevention of recurrence against the suffering sovereigns under the direct violence of the division system and hostile symbiotic relation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