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기혼(旣婚) 효녀’ 사례들의 특징과 의미 (Married Daughters Remaining Loyal to their Parents during the Joseon Dynasty’s Latter Half Period: Characteristics and Meani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3.12
34P 미리보기
조선후기 ‘기혼(旣婚) 효녀’ 사례들의 특징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6권 / 4호 / 227 ~ 260페이지
    · 저자명 : 이정민

    초록

    일반적 통념과 달리, 조선후기 사회에서는 일상 속 물질적・정서적 봉양, 유배・병중 등 특수 상황에서의 봉양, 그리고 부모님 사후의 상례와 제례 준수 등 기혼 여성의 효행 사례가 적지 않게 발견된다. 일상성과 장기지속성을 보여주는 이런 사례들은 극단적 신체 훼손보다는 장시간의 감정 소모 등에 따른 정서적 자기파괴도 보여준다. 기혼 여성의 효행이 가능했던 것은 친정과의 물리적・정서적 밀착성, 그리고 부모 봉양에 딸들이 동원되는 것을 자연스럽게 생각했던 사회 분위기 때문이었다. 무엇보다도 기혼 여성들의 이런 효녀로서의 삶은 효부가 되어야 할 당위성이나 열녀를 추구하는 가치와 상충하지 않고 공존했는데, 며느리를 대체하는 딸의 상시적 봉양이 효부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떨어뜨린 점, 효를 타고난 천성으로 여기는 통념이 효녀와 효부를 다르지 않은 존재로 간주케 한 점, 죽음으로써 열녀가 되는 대신 부모 봉양을 포기하는 여성들에 대한 사회적 불만 등이 그 원인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다만 효녀로서의 삶과 열녀로서의 삶 사이에 존재했던 근본적 괴리는 ‘효녀로 살다가 열녀로 죽기’를 기대하는 이른바 효열(孝烈)의 담론으로 이어져 여성에게 이중의 속박을 지우게 되었다.

    영어초록

    Contrary to the general belief, throughout the latter-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married daughters were able to tend to their parents’ needs, not only physically, temporary, or limited to specific situations—for example, caring for sick or distressed parents. They could provid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are as well, that too on a regular—often, full-time—basis. Even after their parents died, they conducted funerals and memorial services. There are few examples of these daughters experiencing significant physical strain; however, there are instances of mental breakdown, which could have been an even greater threat to their well-being. Their service was made possible by the fact that the physical—and more importantly, emotional—distance between their matrimonial and parental homes was insignificant. Additionally, the society at the time was not opposed to the idea of married daughters tending to their aged parents. Most importantly, a daughter’s loyalty toward her parents did not conflict with her obligations toward her parents-in-law or husband. This was probably because married daughters’ services rendered the services of the daughters-in-law less imperative and more optional. Additonally, the social notion of filial piety being the ultimate moral value ensured that daughters loyal to their biological parents were not blamed of ignoring their matrimonial responsibilities.Moreover, the society abhorred the idea of daughters abandoning their parents for their husbands. Thus, the prevalent social notion was that females should live as loyal daughter and die as loyal wives and daughters-in-law. This notion aimed to harmonize the constantly colliding aspects of the two lives forced upon the females of that era. However, instead of serving as a solution, it was yet another social burden imposed upon these married daugh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