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2 소예언서의 이방 민족들: 이방나라들에 대한 심판의 말을 중심으로 본 12 소예언서의 구성에 관한 연구 (The foreign Peoples in the Book of the Twelve: A Study of the Composition of the Book of the Twelve in consideration of the prophetic Address against foreign Nation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9.03
38P 미리보기
12 소예언서의 이방 민족들: 이방나라들에 대한 심판의 말을 중심으로 본 12 소예언서의 구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약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약논단 / 25권 / 1호 / 54 ~ 91페이지
    · 저자명 : 구자용

    초록

    이 연구가 목표하는 바는 12 소예언서에 나타나는 ‘이방 민족들에 대한 서술들’을 현재 이 분야에 새롭게 적용되는 연구방법론인 공시적 그리고 통시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구성적인 면에서 이방 민족들에 대한 서술들이 12 소예언서에 어떻게 배치되어 있고, 그 배치된 곳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밝혀내는 것이다. 12 소예언서의 ‘이방 민족들에 대한 심판의 말’, 즉 이스라엘의 심판 혹은 구원, 이방 민족 자체의 구원 등과 관련하여 언급되는 본문들을 먼저 ‘아모스-오바댜-요나’와 ‘미가-나훔-하박국’의 틀과 칠십인역의 ‘요나-나훔’의 연속적인 배열 속에서 고찰하고, 이어서 나머지 책들을 포로기 전과 후로 나누어, ‘호세아-요엘, 그리고 스바냐’와 ‘학개-스가랴-말라기’의 배열 속에서 고찰한다. 이방 민족들에 대한 서술의 의미를 분석해보면, 먼저 ‘아모스-오바댜-요나’와 ‘미가-나훔-하박국’의 틀에는 ‘이스라엘-이방 민족-이방 민족’의 패턴이 반복되며, 메시지의 초점이 다분히 이스라엘에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둘째로 심판과 구원의 하나님 야웨는 민족적 차원을 넘고 시대적 차원을 넘어 세계 전 민족을 포괄하는 심판과 구원의 신임을 알게 된다. 또한 칠십인역이 ‘요나-나훔’을 의도적으로 연속 배열한 것은 심판과 구원에 있어서의 하나님의 절대적 주권의 자유를 표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포로기 이전과 이후의 책들에서는 먼저 서론으로서 이스라엘 중심의 성격을 띤 호세아서를 제외한 나머지 책들은 모두 ‘야웨의 날’ 모티브를 공통으로 포함한다. 이 모티브를 통해 이스라엘과 이방 민족들은 모두 야웨의 심판과 구원의 대상이 되며, 12 소예언서의 마지막 부분으로 갈수록 종말론적 야웨의 통치권이 더 강하게 강조된다. 이 연구는 12 소예언서에 대한 현재의 연구 경향성에 발맞추어 가는 작은 학문적 노력이며, 나아가 실천적인 면에서 볼 때, 다문화사회로 급변하는 사회 상황 하에서 중요하게 요청되는 이민족에 대한 이해와 그들을 대하는 자세를 12 소예언서에서 하나님이 이방 민족을 대하는 태도로부터 배울 수 있게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scriptions of the foreign nations' in the Book of the Twelve by using a new methodology which is currently applied in this field, that is, ‘a diachronic and synchronic approach.’ In particular, it tries to find out how the descriptions of the foreign nations in the compositional aspect are arranged in the Book of the Twelve and which role they play there. The word of judgment against the foreign nations there, whether it is related to the judgment or salvation of Israel, or to their salvation itself, is first referred to in the frame of ‘Amos-Obadiah-Jonah’/‘Micah-Nahum-Habakkuk’ and also in the frame of the consecutive order of Jonah-Nahum in the LXX. The remaining six books are separately analysed into pre-exilic and post-exilic books, namely ‘Hosea-Joel and
    Zephaniah’ and ‘Haggai-Zechariah-Malachi.’
    When we consider the meaning of the descriptions of the foreign nations, firstly, we recognize that there is the repeated pattern of ‘Israel-nations-nations’ in the frame of 'Amos-Obadiah-Jonah'/'Micah-Nahum-Habakkuk,' and that the messages focus much on Israel. Secondly, we know that the judgment and salvation of God goes beyond not only the national dimension but also the periodical one and encompasses the whole nations of the world. Besides, the intentional arrangement of the ‘Jonah-Nahum’ in the LXX is seen as an expression of God's absolute freedom of sovereignty in judgment and salvation. In the pre-exilic and post-exilic books, Hosea as the introduction to the Book of the Twelve shows the Israel-centric character, and all the other books contain the motif of ‘the day of YHWH.’ This motif confirms not only that both Israel and the nations are the object of YHWH's judgment and salvation, but also that the last part of the Book of the Twelve more strongly emphasizes YHWH’s eschatological dominance. This study is an academic try to keep pace with current trends in the research on the Book of the Twelve. God's attitude toward the foreigners shown in the Book of the Twelve may teach us how we should behave toward them under the social situation rapidly changing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