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휴먼 시대의 해석자들의 공동체로서 교회의 의미 — 퍼스(Charles S. Peirce)의 해석자들의 공동체를 중심으로 (The Meaning of the Church as a Community of Interpreters in a Posthuman Age:Centering on the Peircean Community of Interpreter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8.12
28P 미리보기
포스트휴먼 시대의 해석자들의 공동체로서 교회의 의미 — 퍼스(Charles S. Peirce)의 해석자들의 공동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 / 56호 / 45 ~ 72페이지
    · 저자명 : 이은경

    초록

    인간은 이야기를 통해 살아가는 ‘스토리텔링 애니멀(storytelling animal)’이라 할 수 있다. ‘스토리(story)’ 즉, 이야기는 단지 회람되는 무의미한 기표들의 연속이 아니다. 우리가 다양한 삶의 담론 속에서 주고받는 이야기는 사소하고 일상적인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사실은 이 사소한 이야기들이 우리 민족과 사람들의 문화적, 사회적 무의식을 구성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 삶의 구체적인 상황들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다. 그래서 우리의 문화적, 사회적 무의식이 어느 하나의 의미를 갖는다고 말하거나 획일적으로 해석될 수도 없다. 이런 까닭에 우리 시대 사람들은 다양한 이야기들 속에서 가치와 의미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고, 때로는 의미와 가치의 공백을 겪으며 살아가고 있다.
    미국 실용주의 철학의 창시자인 찰스 S. 퍼스(Charles S. Peirce)의 기호학은 바로 이 정신적 공백의 시대와 포스트휴먼 시대를 위한 기호론적 함축성을 우리에게 제공한다. 또한 퍼스의 기호학적 개념을 받아들인 로버트 코링턴(Robert S. Corrington)이 제안하는 ‘해석자들의 공동체’는 스토리텔링 애니멀(storytelling animal)로서의 인간이 개인의 치유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정신적 공백을 매우고,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쓰기 시작한 인간-이후(Post-human)의 시대를 의미있게 살아갈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하나의 단초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통찰은 우리의 이야기에서 시작하여 지구적으로 의미있는 해석과 이야기를 전개할 수 있는 기회 또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실용주의자 퍼스에서 유래한 ‘해석체’와 ‘해석자들의 공동체’ 개념은 개인의 차원이 아니라, 사회적 수준에서 ‘의미’의 중요성과 해석이 시작되는 ‘이야기’의 차원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 하에 본 논문에서는 먼저 퍼스의 기호학이 지닌 의미를 간략히 살펴보고, 여기서 유래한 해석자들의 공동체가 포스트휴먼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주는 통찰과 이후 등장한 관계적, 집합적 공동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표적인 이야기 공동체이며, 해석자들의 공동체 중 하나인 교회공동체가 포스트휴먼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탐구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Human beings can be defined as ‘story-telling’ animals who live through narrative. Story is never a meaningless series or simple repetition. While usually seen as trivial and ordinary, stories, which we as social animals exchange through diverse forms of the discourse of everyday life in reality, constitute the basis of the social and cultural unconsciousness of people and nations. Given that the concrete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of our actual lives are very diverse, complex and multifaceted, one cannot say that this social and cultural unconsciousness can have a simple meaning or an monolithic interpretation. This is part of the reason why people often have difficulty in finding value and meaning among the various stories of life and, even worse, suffer from the vacuum of meaning and value.
    The semiology by Charles Sanders Peirce, who is one of the founding fathers of American pragmatism or (in his term) pragmaticism, offers certain semiotic implications for the age of the spiritual vacuum and for the coming posthuman age. In particular, the notion of the community of interpreters, which Peirce introduced and Robert S. Corrington developed in his ecstatic naturalism, provides us with a clue to fill the spiritual vacuum and live meaningfully, that cannot be filled by personal healing programs, in the age of the post-humanity.
    The concepts of ‘interpretant’ and ‘the community of interpreters,’ which are derived from the Peircean semiology, explore the importance of meaning not at a personal level but at social level and show that interpretation begins with storytelling. In this context, the insights from the notion of the community of interpreters offer a chance to unfold meaningful stories and interpretations at the global level from our personal stories.
    Under such assumptions, this paper will sketch the implications of Peircean semiotics and then explore further implications of the Peircean idea of the community of interpreters, for the posthuman age. Furthermore, this paper will examine the potentiality of the relational community of the multiple. Lastly,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Church, which is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a narrative community and one of the communities of interpreters living in the posthuman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교육 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