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도향의 『동백꽃』번역과 복수의 저본들 (Na Do-hyang’s Translation of “Camellia” and the Plural Source Text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3.10
33P 미리보기
나도향의 『동백꽃』번역과 복수의 저본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91호 / 259 ~ 291페이지
    · 저자명 : 손성준

    초록

    이 글은 나도향이 번역한 『동백꽃』의 저본을 밝히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 과정에서 『춘희』의 일역 판본 중 후쿠나가 반카의 『椿姫』를 도향의 저본으로서 확정하였고, 도향이 알버트 린치의 삽화가 포함된 영역본 The Lady with the Camellias까지 일역본과 함께 참조하였다는 사실도 논증하였다. 이 영역본은 바로 후쿠나가 반카의 저본이기도 했다. 일역본에만 의지하지 않고 영역본을 추가로 활용함으로써 도향은 어휘나 표현 방식에 있어서 일역본에 얽매이거나 일역본의 문장 구조에 국한되지 않는 과감하고 자유로운 번역을 시도할 수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도향은 일역본에 오류나 누락이 있다고 의심될 경우 영역본을 통해 수정 및 보완을 할 수 있었다. 영역본을 보완재로 활용했기에 도향은 일역본의 번역 수준을 끊임없이 검증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자신이 판단 내려야 할 순간에 더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다. 도향에게 영역본은 자신의 번역을 스스로 교차 검증함으로써 원작의 감각에 조금이라도 근접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도구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revealing the source text of “Camellia(동백꽃)” translated by Na Do-hyang and analyzing its meaning. As a result, it was posited that the source text for Do-hyang was identified as Fukunaga Banca(福永挽歌)’s The Lady with the Camellias(椿姫) from among the Japanese translated versions of The Lady with the Camellias. It was also suggested that Do-hyang referred to the English translated version of The Lady with the Camellias, which featured illustrations by Albert Lynch. This English translation was the source text for Fukunaga Banca as well. By utilizing not only the Japanese translations but also the English versions, Do-hyang was able to craft bold and liberated translations that were not restricted by Japanese vocabulary, expressions, or sentence structures. Similarly, if there was a suspected error or omission in the Japanese translation, Do-hyang could refer to the English version for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If the Japanese translation was utilized to augment the English version during uncertain moments, and if the English version was the foundational source for the Japanese translation, then Do-hyang could consistently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Japanese translation and also attain a broader perspective when making judgments. For Do-hyang, the English translation served as a valuable tool, enabling her to inch closer to the essence of the original by cross-verifying her trans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