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북지역 대학생들이 마주한 5·18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sangbuk do Face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1.11
33P 미리보기
경북지역 대학생들이 마주한 5·18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교육연구 / 41호 / 187 ~ 219페이지
    · 저자명 : 이해영

    초록

    경북지역에서는 ‘5·18은 폭동’이라는 현수막이 길거리에 어렵지 않게 걸리고 5·18을 보는 관점이 다른 학생과 부모 세대 간 5·18 해석으로 갈등을 빚기도 한다. 최근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5·18부정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인터넷에 확산된 역사부정은 학생들이 직접 검색하는 등 적극적인 태도가 전제된다면 이 지역에 널리 퍼져 있는 부정적 인식은 학생들이 무의식중에 일상에서 접하는 경우가 많다. 이 글은 5·18부정을 접한 대학생들이 보이는 반응을 토대로 이 지역에서 가능한 5·18수업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학생들에게 5·18을 가르치는 것은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문제이다. 이 지역에서 5·18을 가르치는 교사는 다른 지역에 비해 이중의 무게감을 가질 수밖에 없다. 5·18 자체가 주는 어려운 역사의 무게감과 5·18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퍼져 있는 지역의 분위기의 이중고를 극복해야 한다. 이에 5·18의 부담스러움, 불편함을 표출할 수 있는 여지를 충분히 열어주는 것부터 수업을 시작해야 한다. 이 단계를 거치지 않으면 학생들의 감정이 어떻게 표출될지 모르는 불확실한 상황이 수업 내내 이어질 수 있다. 또 교사가 좋은 자료를 제공하더라도 학생들이 감정적으로 과거 사건에 집착하여 자료를 이성적으로 읽지 못한다. 5·18 수업이 정해진 답이 없는 역사탐구과정으로 시작하여 윤리적 성찰에 이르도록 구성되어야 한다면, 탐구과제는 가해자와 피해자, 선과 악을 이분법적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어려운 시기를 경험한 사람들을 배려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예로 국가폭력이 어떻게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을 잠식했는지를 탐색해 보는 과제 등을 설정해 보는 것이다. 한편, 학교뿐 아니라 학교 밖에서도 지역의 분위기를 바꾸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미 달구벌과 빛고을 이름을 딴 달빛동맹을 대구와 광주 지역이 유지하고 있기에 학생들 간 교류를 좀 더 활성화시켜 5·18에 대한 이 지역의 분위기를 쇄신하는데 함께 노력해 주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In the Gyeongbuk area, a placard reading “May 18 is a riot” is hanging on the street. Students and parents sometimes have conflicts over the May 18 interpretation.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Internet, historical denialism is spreading rapidly. The Internet should be actively searched by students. But students often unconsciously encounter negative perceptions that are widespread in this area in their daily life. Therefore, the 5·18 classes that students in this areas will learn should be different from those in other regions. This article is designed to explore the possible 5·18 class methods in this area based on the reactions of university students who encountered historical denialism. Teaching 5·18 to students is a complex problem that requires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considerations. Teachers who teach 5·18 in this region have no choice but to have a double weight compared to other regions.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double burden of the atmosphere of the region where the weight of the difficult history and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5·18 are widespread. In this regard, the class should start by opening enough room to express the discomfort of 5·18. Failure to go through this stage can lead to uncertainty throughout the lesson, not knowing how students' emotions will be expressed. Ultimately, if the 5·18 class should be structured to lead to ethical reflection, starting with a process of exploring history, the inquiry task is not to dichotomize the perpetrator and victim, good and evil. It should be something that can be considerate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difficult times. For example, the task is to explore how state violence has encroached on the daily lives of ordinary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