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心經後論」과 퇴계 직전 제자들의 『심경』 연구 (SimKyeongHuRon and Study on XingJing of Toegye’s Disciple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3.12
23P 미리보기
「心經後論」과 퇴계 직전 제자들의 『심경』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13호 / 9 ~ 31페이지
    · 저자명 : 황지원

    초록

    이 논문은 조선조 『심경부주』 열풍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심경후론」을 중심으로 하여 이황의 철학체계가 근거하고 있는 기본적인 문제의식과 『심경부주』의 내용적 연관성을 살펴보고, 『심경부주』와 관련하여 직전 제자들의 문제제기에 대해 이황이 어떻게 대응하는지, 그리고 그에 대한 제자들의 반응이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검토함으로써 퇴계학의 심학적 특성과 그 전개 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심경부주』가 퇴계심학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보고 있지만 『심경부주』의 영향 하에서 퇴계심학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먼저 퇴계의 성리학적 사유전반에 걸쳐 심학적 특성이 형성되고, 그것을 뒷받침할 수 있는 유력한 근거로서 『심경부주』가 수용되었다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한 이해일 것이다. 결국 이황은 마음의 능동성과 이로부터 도출되어 나오는 도덕실천의 필연성에 대한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심경부주』를 적극 활용했던 것이다.
    퇴계의 직전 제자들은 『심경부주』의 전체적인 구성과 체계는 물론이고 세부 내용에 대해서, 그리고 정민정의 도덕성과 학문 원류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면서 전면적인 개정이 필요함을 역설하였으나, 퇴계가 「심경후론」을 저술하여 정민정을 옹호하는 자신의 최종입장을 밝히고 난 후에는 대체로 묵수하며 이를 따르는 태도를 보인다. 그러나 퇴계 사후에 정구 등과 같은 제자들은 『심경』을 완전히 새롭게 편집하여 퇴계에 대한 오해의 소지를 없애고 정통주자학의 관점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하지만 이후 『심경부주』의 내용이 리기론과 사단칠정, 인심도심 등 성리학 전반의 중요한 문제와 맞물리게 되었고, 외형적으로는 학파의식이 형성되고 고착화되면서 이와 관련된 논쟁이 치열하게 전개된다. 율곡학파를 중심으로 『심경부주』의 내용과 그것을 옹호한 이황의 심학에 대한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었고, 역으로 퇴계학파에서는 어떻게든 퇴계심학의 이론 구조를 보호하고 지켜내고자 하였다. 조선후기 『심경부주』 열풍은 바로 이러한 역사적 맥락에서 발생한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orrelation between XinJingFuZhu and fundamentally critical mind that philosophical system of Yi Hwang is based on, focusing on SimKyeongHuRon which can be starting point of the booming XinJingFuZhu in the Joseon Dynasty; and to grasp proper understanding of mind-theoretical feature of Toegye philosophy and process of development, by examining how Yi Hwang responds to problems of his disciples and how their reaction were found in him with reference to XinJingFuZhu.
    Generally, although XinJingFuZhu exerts its influence to formation of Toegye’s Simhak, Toegye’s Simhak is not formed under XinJingFuZhu‘s influence but mind-theoretical feature is formed over the length and breadth of Toegye’s philosophy, and XinJingFuZhu, as strong basis which can underpin it, is accepted.
    Eventually, Yi Hwang utilized actively XinJingFuZhu to secure activeness of mind and foundation of necessity of practicing morality drawn from it on purpose.
    Disciples of Toegye raised the question for overall scheme and system and detailed contents of XinJingFuZhu, and for morality and scientifical origin of Jeong Minjeong, they emphasized necessity of overall change. But as Toegye wrote SimKyeongHuRon, he advocated Jeong Minjeon. However, after death of Toegye, disciples like Jeong Gu made a new edit of XinJing and then they got rid of misunderstanding of Toegye, and they reinforced perspective of zhuxi studies of authenticity.
    Since then, contents of XinJingFuZhu become to mesh with important issues of the whole neo-confucianism, the theory of Ligi and Four-Seven debate, and Insimdosim so on. Externally, since consciousness of school is formed and become fixation, dispute which associated with it is hotly developed. contents of XinJingFuZhu and questions about mind philosophy of Toegye who advocated it focused on Yulgok school is constantly brought up.
    Inversely, Toegye school safeguards theoretical system of Toegye’s Simhak in one way or another. The booming XinJingFuZhu in the Joseon Dynasty takes place just in this historic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