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鄭道傳 文學觀의 몇 가지 양상들 (Several Aspects of Jeong Do-jeon's Literary Insigh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08.02
24P 미리보기
鄭道傳 文學觀의 몇 가지 양상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교육 / 125호 / 443 ~ 466페이지
    · 저자명 : 김종진

    초록

    14세기 후반은 한국사의 일대 전환기로 鄭道傳(1342-1398)은 여말에는 당대의 가장 비판적인 지식인으로, 선초에는 당대의 최고 실권자로 항상 급진적인 개혁론의 선두에 섰던 인물이다. 그리고 그가 주도한 개혁의 범위는 비단 정치·경제·사회의 법률과 제도에 그친 것이 아니라, 인간 정신의 모든 형상을 포괄하는 것으로 철학과 함께 문학도 여기서 예외가 아닌 경우이다. 1375년 당시 권문세족의 친원 정책에 반대한 죄로 유배를 당하였던 정도전은 부곡의 하층민과의 생활을 통하여 고려 사회가 안고 있는 구조적인 모순을 직시하는 한편, 자신이 처한 부당한 유배 상황은 內省과 修己를 통하여 이를 정신적으로 극복하고자 하였다. 靜坐와 이에 따른 음풍영월에 대한 이해는 이 내성과 수기의 과정에서 얻어진 것인데 그에게 음영의 대상인 바람과 달은 단순히 자연물로서의 바람과 달만이 아니라 하나의 상징으로 바람의 상쾌함과 달빛의 밝음은 自私를 초극함으로써 비로소 회복된 도체 본연의 인간 심성 그 자체인 것이다. 또한 성리학을 사상적 배경으로 하고 있는 여말 신진사인의 시에서 앞선 시대의 문인들의 시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내용으로 눈에 띄는 것은 정좌와 함께 觀物을 꼽을 수 있다. 관물은 사물을 매개로 도를 인식하려는 태도로 관물이 시의 소재로 등장하기 위해서는 우선 성리학이 단순한 학문적 관심과 政敎의 차원이 아니라, 의식의 변화란 차원에서 인식되어야 했으며, 종래 詞章의 범주로 인식되었던 시가 道의 범주로 인식되는 문학관의 전환이 필요하였다. 넓은 의미로 도연명에 대한 호상도 정도전의 문학관의 범주에 넣어서 생각할 수 있다. 도연명은 정도전에게 시인이기 이전에 유자였다. 따라서 정도전이 도연명을 높이 평가하게 된 근거도 도연명의 시가 도달한 문학적 내지는 예술적 경지에 있기보다는 먼저 진말의 시대 상황과 도연명이 처한 위치에서 보여준 그의 유자로서의 거짓없는 삶 그 자체에 있었던 것이다. 이는 종래 시어와 풍격에 대하여 논했던 종래 문인과 학자들의 도연명에 대한 호상 및 평가와는 다른 것으로, 궁극적으로는 문학을 기와 예의 차원에서 인식했던 문학관에서 벗어나 문학을 삶의 보다 본질적인 문제와 관련해서 인식하고자 했던 정도전 자신의 문학관 및 불우했던 시기에 그가 사상적으로 경사되었던 유학의 心性적 측면과 무관하지 않은 문맥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late 14th century was a great transition period of Korean history. Jeong Do-jeon(1342-1398) was representative of his contemporary critical intellects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then always played a role as the biggest political strongman in the vanguard of radical reform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he took the initiatives in implementing comprehensive reforms which encompassed all aspects of human mentality beyond simple laws and institutions i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s for him, even philosophy and literature could not be exception from such global reform. In 1375, Jeong was sentenced to transportation for guilt of opposing pro-Yuan policies(policies for allied relationships with Yuan dynasty) advocated by ancestral powerful families(權門勢族). But then, while living along with lower class folks in Bugok(部曲), he looked straight at certain structural dilemma of society in the Goryeo dynasty, and sought to mentally get over his circumstances of unreasonable banishment through self-reflection(內省) and self-culture(修己). Moreover, he came to understanding about self-culture with sitting in meditation(靜坐) and corresponding verse writings based on Nature(吟風詠月) through the self-reflection and self-culture. As for Jeong, both wind and moon that were objects of verse writing and reading(吟詠) was not simply natural phenomenon or thing, but a symbol: Both the freshness of wind and the brightness of moonlight represent restored original human mentality of a seeker(道體) who gets over his personal self-interest(自私). In addition to sitting in meditation(靜坐), tranquil appreciation(觀物) is also another new notable point in the poetry of Jeong as a man of Sadaebu class(high official class) emerging in the late Goryeo dynasty on philosophical foundation of neo-Confucianism(性理學), because it could not be found in the poems of previous literati. Tranquil appreciation is an attitude to realizing truth(道) by way of things. The advent of tranquil appreciation as a new material of poem required that neo-Confucianism should be recognized in the dimension of changing awareness beyond simple academic interests or political and religious dimension. Moreover, it also required to turn conventional literary insight from poem as a category of literary art and skill(詞章) to that as a category of seeking truth. In broad sense, Jeong's admiration of Tao Yuan-ming(陶淵明) may be addressed within the category of his literary insight. As for Jeong, Tao was a Confucian mentor as well as poet. Therefore, Jeong appreciated and respected Tao highly because of Tao's unfeigned Confucian life itself as demonstrate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late Jin dynasty and his personal circumstances, rather than because of full-fledged literary world or artistry in Tao's poems. This is different from conventional literati's and scholars' admiration or appreciation of Tao, where they discussed poetic dictions and general literary gusto(風格). Ultimately, these literary tendencies of Jeong c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his literary insight to recognize literature in associations with more essential matters of life beyond conventional perspectives on literature in the dimension of art and skills, as well as in the aspect of his ideological propensity to Confucian nature (心性).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