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들뢰즈의 관객-이미지(들)과 그 현대적 확장 (Deleuzian Spectator-Image(s) and their Modern Expans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2.12
27P 미리보기
들뢰즈의 관객-이미지(들)과 그 현대적 확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문화 / 41호 / 65 ~ 91페이지
    · 저자명 : 이지영

    초록

    본 연구는 기계와 인간과 네트워크가 결합된 포스트-휴먼적인 현대의 미디어 환경 속에서 새롭게 변화하는 영화 관객의 개념화를 시도한다. 현대 관객론을 제안하기 위해 먼저 영미권 주류 영화이론에서 제안되고 오랫동안 지배적인 관객론으로 자리잡아온 스크린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 한다. 특히 이 논의들의 전제에 해당하는 관객의 수동성과 능동성이라는 이분법적 구분 자체의 부적절함을 랑시에르의 ‘해방된 관객’ 논의를 통해 비판하였다. 수동성과 능동성의 이분법적 구분이 적용되지 않는 현대의 관객들은 들뢰즈의 관객론을 바탕으로 이론적으로 구체화된다. 들뢰즈는 명시적으로 관객론을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그의 영화철학 체계 내에서 관객론을 재구성할 수 있다. 들뢰즈에게 관객은 다른 영화 이미지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이미지이며, 영화를 이루는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영화에 앞서 존재할 수 없다. 다시 말해, 그의 관객에 대한 입장은 기본적으로 수동적이다. 이미지의 구성요소로서 수동성을 가진 관객이라는 내용을 함축하고 있는 개념으로 본 연구에서는 ‘관객-이미지’를 제안하는데, 이 개 념은 정신적 자동기계 개념과 이미지의 계열화 속에서 보다 구체화된다. 들뢰즈에 의하면 영화의 정신적 자동기계는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의 영화에서 각각 다르게 작동하며, 다른 사유를 생산해낸다. 본 연구는 시간-이미지의 영화에서의 사유로부터 이미지들의 계열적 사유를 도출하여, 이 계열 속에서 생성되는 것이 아직 오지 않은 민중으로서 복수형으로만 존재하는 ‘관객-이미지들’임을 제안한다. 이러한 이론적 토대 위에서 영화를 둘러싼 포스트 휴먼적 상황 속에서 영화의 관객들은 영화관을 넘어 어떻게 확장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conceptualize the newly changing movie spectator in a contemporary post-humanist media environment where humans, machines, and networks are connected. First, I critically review the theory of the spectatorship of the mainstream anglophone film theory. In particular, with the help of Rancier’s concept of the “emancipated spectator”, I criticize the dichotomous distinction between the spectator's passivity and activism, which is the premise of the Screen Theory. Contemporary spectators, who do not fit the dichotomous distinction between passive and active, are theoretically developed based on Deleuzian spectatorship. Deleuze did not explicitly present the spectatorship, but we can reconstruct his spectatorship within his film philosophy system. For Deleuze, the spectator, like other film images, is an image and a component of the film. The audience cannot exist prior to watching a film in Deleuze’s film philosophy. Therefore, his spectatorship is passive. I propose the concept of ‘spectator-images’ that imply the discussion above, and this concept is more concretized in the spiritual automaton concept and series of images. According to Deleuze, cinematic automatons work differently in movement-image and time-image films, creating different thoughts. I propose the spectator-images as the becoming of people to come in the series by deducing the series of images from the thoughts of the time-image. Upon this theoretical base, this study shows how the film spectators can be expanded beyond the cinema theater in the post-humanist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