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필리스티아인들의 원고향: 캅토르(Caphtor, 크레타)? (The Urheimat of the Philistines: Caphtor (Cret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8.04
33P 미리보기
필리스티아인들의 원고향: 캅토르(Caphtor, 크레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대사연구 / 51호 / 35 ~ 67페이지
    · 저자명 : 오흥식

    초록

    필리스티아인들 또는 블레셋인들의 고향은 기원전 11세기 람세스 3세 제8년에(기원전 1176년)치세에 이집트를 침입한 바다의 민족들 중의 하나인 펠레세트(Prst)가 도래한 캅토르(크레타)― כַּפְתֹּר, Caphtor―라는 것이 정론이다. 그런데 구약 성경은 기원전 1176년 이전, 아브라함의 때에도 「창세기」(21:30-32, 26:8-9), 이사악의 때에도「창세기」(26:8-9), 출애굽의 시기에도(「탈출기」 13:17), 15세기 초 여호수아의 때에도(「여호수아」 13:1-3, 「판관기」 3:1-3), 14세기 판관 삼가르의 때에도(「판관기」 3:31), 1200년경에도(「판관기」 10:6-8) 필리스티아인들의 존재를 일관되게 말하고 있다. 필리스티아인들의 원고향은 캅도르가 아니라 필리스티아로 말하고 있는 것이다. 「아모스」 9:7은 “내가... 필리스티아인들도 캅도르에서... 되돌아오게 하다(הֶעֱלֵיתִי)”로 해석할 수 있다.
    그렇다면 1176년 이전에도 필리스티아에 필리스티아인들이 있었고 이후에도 캅토르로부터 왔다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디오도로스(5.80)에 따르면, 크레타의 두 번째 거주자들은 펠라스고이인데, 논자는 이들을 힉소스 시대(1700-1530) 시대의 힉소스로 보았다. 펠라스고이를 축출된 다나오스의 아르고스 도래 이전에 그리스에 거주하였던 사람들로 말하고 있는 스트라본(5.2.4)과 헤로도토스(2.171, 7.94-5), 그리고 펠라스고이가 비헬라스계 언어를 사용한다는 헤로도토스(1.57)의 기록은 디오도로스의 기록을 뒷받침하고 있다. 논자는 힉소스 시대(1700-1530)에 힉소스의 일원으로 필리스티아인들의 ‘일부’가 갑토르로 갔다가 필리스티아로 귀향하였을 개연성을 제기하려 하였고, 캅토르로부터 필리스티아인들의 귀향을 힉소스의 이주와 귀향이라는 역사적 배경에서 설명하려 하였다.

    영어초록

    The Cretan origin of the Philistines, one of the Sea Peoples who invaded Egypt in the eighth year of the reign of Ramesses III (1176 B.C.), is generally accepted by scholars. However, the Old Testament says that there were the Philistines in the land of the Philistines in the time of Abraham(Genesis 21:30-32), Isaac(Genesis 26:8-9), Moses(Exodus 13:17), Joshua(Joshua 13:1-3, Judges 3:1-3), Shamgar the Judge(Judges 3:31), and about 1200 BC(Judges 10:6-8). This indicates that the Urheimat of the Philistines were from Palestine, not Crete. Additionally, Amos 9:7 could be translated as “"Did I not return(הֶעֱלֵיתִי)... the Philistines (to Palestine) from Caphtor?”.
    How can the presence of the Philistines in Palestine before 1176 B.C. as well as the return of them from Crete be explained? According to Diodorus (5.80) the second inhabitants were Pelasgoi, “who were in movement by reason of their continuous expeditions and migrations arrived at Crete and made their home in a part of the island.” I have tried to identify Pelasgoi with the Hyksos people in the Hyksos period (c. 1700-1530). Strabo (5.2.4) and Herodotus (2.171, 7.94-5) support the identification, saying that the Pelasgoi were the people in Greece before Danaus, the expelled Hyksos leader from Egypt, arrived at Argos (1511). Furthermore, Herodotus(1.57.2) said that “the Pelasgians spoke a language which was not Greek.”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demonstrate that a part of the Philistine people went to Crete in the Hyksos period and returned to Philistia, their Urheimat, as the Prst (a sea People) di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