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왕후들의 언간 서체 특징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alligraphic Style in the Hangul Letters by Queens of Chosu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3.09
28P 미리보기
조선시대 왕후들의 언간 서체 특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69호 / 401 ~ 428페이지
    · 저자명 : 한소윤

    초록

    한글 창제이후 궁중 여성들의 언문사용은 남다른 격조를 띠면서 활발하게 유지되었다. 그 중 왕후들이 남긴 자료로는 언교(諺敎)⋅소설필사본⋅교훈서⋅일기⋅언간 등이 있다. 특히 이 중에서 언간은 왕후들의 개인적인 삶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며, 수렴청정 기간 동안 조정에 내렸던 언교는 한글이 공식적인 문서에 사용된 첫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남겨진 왕후들의 언간 묵적으로는 인목왕후⋅장렬왕후⋅인선왕후⋅명성왕후⋅인현왕후⋅정순왕후⋅혜경궁 홍씨⋅순원왕후⋅명성황후⋅순명황후의 필적 289편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왕후 10명의 언간을 통해 그 통계적 현황과 서체가 갖고 있는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들 왕후들의 언간에서 볼 수 있는 서체는 대부분이 궁체로 반흘림, 흘림, 진흘림의 특징이 잘 표현되어 있다. 이들 대부분은 한글 궁체의 단아하고 우아한 미적인 요소가 깃들여 있어서 높은 서격(書格)을 나타내고 있으며 한글서예사에서 중요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장법에 있어서도 마치 한문서예의 행초서처럼 획의 비수(肥瘦)나 먹의 조윤(燥潤), 글자의 대소(大小)로 강약을 잘 나타내고 있다.
    왕후들은 궁중의 최상류층의 여성으로 궁중의 문화를 주도해 나갔던 만큼 글씨에 있어서도 궁체의 변화를 주도해 나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인목왕후⋅장렬왕후⋅인선왕후의 글씨에서 반흘림의 특징이 나타났고, 명성왕후⋅인현왕후⋅정순왕후⋅혜경궁 홍씨의 글씨에서 흘림의 변화가 현저해졌으며, 또 정순왕후와 혜경궁 홍씨의 글씨에서 부터는 궁체의 백미인 진흘림의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순원왕후의 글씨에서 진흘림의 전형이 확고해졌다. 따라서 왕후들의 언간은 한글 궁체의 형태가 바뀔 때 마다 가장 먼저 왕후들의 언간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서체가 그 변천을 선도해 나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After the Invention of Hangul, the women at Royal Court uncommonly used the Hangul with high tone and activity. Until now there are materials that the queens left the writs of appointment, novel copies, didactic books, diaries, and letters written in Hangul. They are the precious materials that we can glance at the private lives of queens especially from their Hangul letters.
    During the regency by queen mother from behind the veil, the queen had given the writs in Hangul to the Royal Court. I think it was the first case that Hangul was used in the official document. There are the 289 pieces of remains of Hangul written by 10 queens; Queen Inmok, Queen Jangryeol, Queen Inseon, Queen Myeongsung, Queen Inhyeon, Queen Jeongsun, Princess Hong (Hyekyeongkung Hongssi), Queen Sunwon, another Queen Myeongsung, and Queen Sunmyeong.
    In this treatise, I tried to clarify the statistical situ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that their calligraphic style had through the letters of 10 queens. I could see that most of them were written in the court style of Hangul calligraphy and expressed well the characteristics of half-cursive style, cursive style and true cursive style. Their letters had aesthetic elements of elegance and gracefulness and showed the high dignity of calligraphy. I thought those points played a role in occupying the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Hangul calligraphy.
    Moreover we can see that in writing characters, the calligraphic style of letters well exposed the general strength & weakness like as in the cursive grass style of Chinese calligraphy through the fatness & slimness of the stroke, or the dryness & richness of Chinese ink, or the bigness & smallness of characters.
    I could make certain that queens took the lead the change of court style in Hangul calligraphy because they led the culture of Royal Court as the highest class women.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 of half-cursive style appeared in the handwritings by Queen Inmok, Queen Jangryeol and Queen Inseon. I could find the distinguished change of cursive style in the writings by Queen Myeongsung, Queen Inhyeon, Queen Jeongsun and Princess Hong.
    The true cursive style which was the finest example of court style of Hangul calligraphy started to show up in the writings by Queen Jeongsun and Princess Hong, and the model of the true cursive style settled down from the writings by Queen Sunwon.
    The change of the court style appeared in the Hangul letters of queens at the earliest time. They could accept the change and could lead the change because of their highest position. And they showed the change of court style in their letters every change. Consequently we could see queens led the changes and we could find the various calligraphic styles in their let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