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락탄티우스(Lactantius)의 교회사 『박해자들의 죽음들』 –그리스도인 락탄티우스의 신관이 만든 사상과 그 배경 연구 (Church History of Lactantius “Deaths of Persecutors” Idea Created by Godly Perspective of Lactantius and Its Background Research)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3.03
26P 미리보기
락탄티우스(Lactantius)의 교회사 『박해자들의 죽음들』 –그리스도인 락탄티우스의 신관이 만든 사상과 그 배경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장신논단 / 45권 / 1호 / 37 ~ 62페이지
    · 저자명 : 공성철

    초록

    『박해자들의 죽음들』이라는 적나라한 제목의 책으로 디오클레티아누스의박해라는 역사적 사건을 생생하게 보도한 락탄티우스는, 박해의 원흉들의 말로를 보여주면서 ‘하나님의 승리가 역사적으로 나타난 사례’를 변증하고 있다. 그는 박해의 원인과 박해의 의미를 종교적인 문제, 곧 로마와 교회의 대립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인류전체를 대적하는 ‘비인간적인 야만성’에서 발로되었다고 보고 있다. ‘하나님의 유일성’이 드러난 역사적 사례가 ‘박해자들의 죽음’이라고 주장하는 락탄티우스는, 결국 이 책으로 ‘유일한 하나님은 계시고, 정의를 세우시는 분’이라는 신정론을 펼치고 있다. 또한 박해는 로마제국이나 이교도의 공격이 아니라, ‘비인간적인 야만성’의 발로라고 말하고 있는 이 저서는, ‘그가 인간중심적 신학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기존 연구와 그의 다른 문서들에 대한 해석이 틀리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가 집필한 다른 문서들과 달리, 이 책은 이론적인 배경을 전혀 드러내지않고 ‘역사적 사건들’만 나열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곧 ‘교회사’인 것이다. 최초로 교회사를 집필하였다는 에우세비오스의 책과 형식에서 뿐만 아니라 내용에 근거해서도, 락탄티우스의 문서는 참으로 교회사라고 해야 할 것이다. 유일한 하나님을 믿었던 그는 “역사”란 하나님의 존재와 역사하심의 ‘사례’라고 강조하면서, 교회사라는 것은 인간을 드러내는 것이 아님을 명료하게 밝히고 있다. 그는 하나님의 승리를 강조하려고 하였기에 인간은 ‘칭찬 받을 인간이아니라 패하는 인간들’임을 제시하고 있다. 그래서 유세비오스는 ‘콘스탄티누스의 생애’와 그의 ‘찬가’를 집필하였지만, 락탄티우스는 그렇게 하지 않았던 것이다. 락탄티우스의 이러한 신앙과 신학이 드러내는 『박해자들의 죽음들』은 역사에서의 하나님을 드러내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이것은 교회사의 서술 본보기를최초로 보여준 문서인 것이다.

    영어초록

    Through a candidly titled book “Deaths of Persecutors”, Lactantius vividly reports the historical events of Diocletian’s persecution, expounds the final days of main culprits of persecution,and apologetically attempts to “reveal historical case” of God’s victory. He does not see the source and purpose of persecution as religious issue, a conflict between Rome and Church. He expresses that persecution is a manifestation of ‘inhumane brutality’. Believing ‘God as one’ and arguing that ‘Deaths of Persecutors’ is the revealed historical case, Lactantius ultimately in his book expounds the theodicy that “God exists, and he establishes justice”.
    This book expressing that persecution is a manifestation of ‘inhumane brutality’ shows that ‘he has human centered theology’ according to established research and his interpretation of other documents were not incorrect.
    Differently from his other works, this book does not show theoretical background at all but enumerates ‘historical events’. That means it is a simple ‘Church history’. Lactantius’document should be considered as Church history, because of his adaptation of book recorded by Eusebius who wrote the first Church historical document, his style, and based on details. As a faithful believer of God, he expresses that “history” is an “example” of God’s existence and providence, thus clarifying that Church history does not reveal people. In order to express the triumph of God he presents the “defeated people”, not “praiseworthy people”.
    Therefore, Eusebios writes ‘vita Constantini’ and ‘laus of him’, but Lactantius doesn't praise anyone. Revealing his faith and theology, “Death of Persecutors” shows God in history. It is the first document to demonstrate a descriptive example of Church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