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리들리 스콧 영화에서 드러나는 히스테리의 구원론 - <엑소더스 : 신들과 왕들>, <에이리언 : 커버넌트>, <킹덤 오브 헤븐>을 중심으로 (The Doctrine of the Salvation of hysteria in the Films of Ridley Scott - Focusing on Exodus: Gods and Kings, Alien: Covenant, and Kingdom of Heave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2.02
28P 미리보기
리들리 스콧 영화에서 드러나는 히스테리의 구원론 - &lt;엑소더스 : 신들과 왕들&gt;, &lt;에이리언 : 커버넌트&gt;, &lt;킹덤 오브 헤븐&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화연구 / 65권 / 147 ~ 174페이지
    · 저자명 : 허의진

    초록

    본 연구는 리들리 스콧의 작품, 특히 <엑소더스 : 신들과 왕들>(2014), <에이리언 : 커버넌트>(2017), 그리고 <킹덤 오브 헤븐>(2005)을 정신분석에서 말하는 히스테리와 윤리를 바탕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영화에서 스크린이 차지하는 위치는 관객과 감독 사이를 매개하는 동시에 거리 혹은 간극을 만드는 것으로 감독과 관객 모두를 보존하는 참조점의 위치이다. 스크린의 이러한 유보는 ‘구원’의 개념과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라캉이 말하는 히스테리자의 욕망과 환상의 횡단 등의 개념을 지탱하는 근거이며, 라캉을 바탕으로 자신의 이론을 개진하는 슬라보예 지젝의 중심 사유이기도 하다. 마찬가지 맥락에서 분석의 끝은 증상의 소멸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분석의 종료는 역설적으로 긴장상태의 지속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스콧이 자신의 작품에서 끊임없이 발화하는 메시지의 목적은 대타자를 겨냥하여 전략적으로 도발하는 히스테리자의 고발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 그렇다면 비평이란 긴장 관계에서 영화와 관객 사이의 긴장 상태 속에서 발생하는 중지되는 순간을 밝혀내는 절차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스콧의 영화는 히스테리적인 윤리를 추구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tudy aimed to analyze Ridley Scott's works, especially Exodus: Gods and Kings (2014), Alien: Covenant (2017), and Kingdom of Heaven (2005) based on the hysteria and ethics referred to in psychoanalysis. The position occupied by the screen in the film is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point that preserves both the director and the audience by mediating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director while creating a distance or gap. This reservation of the screen can be linked to the concept of 'Salvation'. This is the basis for the concept of hysteria's desire and Traverse of Fantasy and is also the central reason for Slavoj Žižek, who expresses his theory based on Lacan. In this context, the end of the analysis does not mean the elimination of symptoms. Rather, the end of the analysis is paradoxically closer to the continuation of tension. Therefore, the purpose of Scott's constant provocation in his work can be interpreted as an accusation of hysteria that strategically provokes the Other. If so, criticism can be said to be a procedure to uncover the moment that occurs in a tense relationship between a film and an audience.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Scott's film pursues hysterical eth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