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작과비평"과 아동문학이 만나는 들머리 – 창비와 아동문학의 교섭 양상에 대한 소고(小考) – (An entrance negotiated between "Changbi" and children’s literature – Thoughts on the Negotiating Patterns of Children’s Literature with "Changbi")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4.06
30P 미리보기
"창작과비평"과 아동문학이 만나는 들머리 – 창비와 아동문학의 교섭 양상에 대한 소고(小考)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34호 / 271 ~ 300페이지
    · 저자명 : 류영욱

    초록

    본 논의는 『창작과비평』에서 촉발된 현실주의 아동문학과 비평 상황을 고찰하고 이 후 한국 아동문학장의 재편 양상을 탐색하는 기초 연구의 의미를 가진다.
    한국 아동문학장은 순수 본격문학론을 중심으로 정전화되어 왔다. 그러나 아동문학 단체의 생성과 분화 속에서 생긴 1970년대 이후 아동문학장은 새로운 서술의 가능성으 로 해석할 수 있다. 1960년대가 문협을 중심으로 순수・반공・민족주의 관념으로 재편되 었다면 1970년대는 참여파로 분류된 이원수를 필두로 한 일련의 흐름이 뚜렷이 감지되 는시대였다. 본 논의는 그 흐름의 시작을 이오덕의 비평문과 권정생 등의 작품을 게재한 『창작과비평』에서 간취했고, 그 접합점에서 현실주의 아동문학의 양상을 살피고자 했다.
    1970년대 민족문학론에 주력했던 『창작과비평』에 이오덕과 아동문학은 새로운 영역 으로 포착되었다. 이오덕은 『창작과비평』에 아동문학과 교육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며 긴밀한 교섭 관계를 이어나갔다. 『창작과비평』이 이오덕을 ‘발견’한 것이라면 이오덕은 창비를 ‘활용’할 줄 알았던 것이다.
    아동문학에 대한 『창작과비평』의 매체 전략은 민족문학, 세계문학으로의 지향점으로 연결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창작과비평』에서 강화된 현실주의 아동문학은 당시 유일한 아동문학 비평지인 "아동문학평론"과 극명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동시대에 아동문학 비평을 주도했던 "아동문학평론"에서 형성된 현실주의 아동문학 담론을 함께 살핌으로써 1970년대 이후 한국 아동문학장의 재편 양상을 탐색하는 시각이 필요하리라 본다. 이는 특정 시대에 멈춰 선 한국아동문학사를 새롭게 서술하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discussion is meaningful as a basic work of research to examine the realist children’s literature and criticism situation triggered in "Changbi" and explore the reorganization of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field.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Center has been formed as a fixed theory centered on pure and full–fledged literary theory. However, since the 1970s, which arose amid the cre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groups, children’s literature books can be interpreted as the possibility of a new narrative. The 1960s were reorganized into pure, anti–communist, and nationalist ideas centered on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ities. And the 1970s were an era in which a series of flows, led by YI ODEOK, who was classified as a participant, were clearly detected. This discussion intercepted the beginning of the flow in 『Changbi』, which published works such as YI ODEOK’s criticism and KWON JEONGSAENG. In addition, we tried to examine the aspect of realist children’s literature at that junction.
    YI ODEOK, who published a review in 1974 of 『Changbi』, is considered to have played the role of an intermediary between YI WONSU, YI HYEONJU, and KWON JEONGSAENG. In 『Changbi』, which focused on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70s, YI ODEOK and children’s literature were captured as new areas. YI ODEOK urged 『Changbi』 to pay attention to education and children’s literature and continued close negotiations by participating in the planning of Children’s Book Changbi. If 『Changbi』 “discovered” YI ODEOK, YI ODEOK thought he would “use” 『Changbi』.
    As shown in Children’s Books Changbi, 『Changbi』’s media strategy for children’s literature shows a pattern that leads to the direction of national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However, the reinforced realist children’s literature in 『Changbi』 showed a stark difference in position from the only children’s literature critic at the time, 『CRITICISM OF KOREA A CHILDREN’S LITERATURE』. Realist children’s literature formed in 『CRITICISM OF KOREA A CHILDREN’S LITERATURE』, which led the discourse of children’s literature criticism at the same time, will be examined together. And I think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reorganization of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Center after the 1970s. This is because it is a new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that has been stopped in a specific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동청소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