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공들의 ‘불온한 방’–1970~80년대 여성 노동자들의 ‘장소 만들기’로서의 노동운동 (The Rebellious Room of Female Workers-Labor Movement as ‘Making Places’ of Female Workers in the 1970s and 1980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0.08
26P 미리보기
여공들의 ‘불온한 방’–1970~80년대 여성 노동자들의 ‘장소 만들기’로서의 노동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25호 / 101 ~ 126페이지
    · 저자명 : 임희현

    초록

    본고는 1970~8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 및 노동 수기에서 표상화된 여성 노동자들의 ‘소모임’ 만들기를 새로운 ‘장소 만들기’의 문제로 이해하고, 여기에서 탄생하는 새로운 ‘장소’의 의미를 구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때 여성 노동자들의 ‘장소’란 여성 노동자의 삶의 공간인 방, 집, 기숙사 등에서 여성 노동자들이 결집한 크고 작은 모임들을 모두 아우르는 것이다. 농촌을 떠나 도시의 공장에서 노동하게 된 여성 노동자들에게 주어진 사적 공간인 ‘기숙사’와 ‘벌집’은 온전한 사적 공간으로 기능하지 못한다. 이렇듯 여성 노동자를 위한 ‘장소’가 부족한 상황에서 주어진 산업선교회의 소모임은 여성들에게 내밀한 사유가 가능하며, 서로 연대할 수 있는 ‘온전한 방’의 경험으로 다가오게 된다. 이를 계기로 여성 노동자들은 수동적으로 장소가 주어지는 것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자신들의 ‘방’을 만들어 나가고, 이를 기반으로 자신들을 향한 억압과 폭력에 저항한다. 이러한 ‘장소 만들기’의 양상은 1980년대 중반까지 여성 노동자들이 노동운동에서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원동력으로서의 의의를 가지며, 다양한 곳에서 자신들의 자리를 박탈당한 작금의 여성 노동자들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the organization of the ‘small group’ by female workers represented in novels and labor memoirs from the 1970s to the 1980s and seeks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term ‘place’. The ‘place’ of female workers includes all large and small gatherings where female workers can assemble, such as rooms, houses, and dormitories. The ‘dormitory’ and ‘honeycomb’, which are private spaces provided to female workers in urban factories who left the country to work, do not function as intact private spaces. Industrial Mission Association, which is one of the few ‘places’ allowed to female workers, gives women experience of having a ‘complete room’ that they can consolidate each other and share their thoughts. It induces female workers to actively create their own ‘rooms’, where become the resistance base against oppression and violence upon them. This aspect of ‘place-making’ has significance as a driving force to support female workers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 labor movement until the mid-1980s, and can still be a valid driving force for female workers who have been deprived of their positions in various pla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