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들의 기사도 허상 깨뜨리기: 여성 인물들을 중심으로 『가웨인경과 녹색기사』 다시 읽기 (Women's Subjectivity in 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0.12
20P 미리보기
여성들의 기사도 허상 깨뜨리기: 여성 인물들을 중심으로 『가웨인경과 녹색기사』 다시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27호 / 209 ~ 228페이지
    · 저자명 : 이한솔

    초록

    본 연구는 『가웨인경과 녹색기사』가 12세기의 아서왕 이야기를 소재로 급변하는 14세기 영국 사회의 무너져가는 남성 중심의 기사도 문화와 상대적으로 상승한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암시하고 있는 작품임을 밝힌다. 역사적으로 14세기는 봉건제가 한계를 맞이하는 시대였고, 흑사병의 창궐로 인해 노동력이 절반으로 줄어들었으며 교회의 힘이 차츰 약해지는 악순환의 시기였다. 역사학자들이 기사도 정신이 사라진 건 아니지만 기사들의 도덕적 위상은 낮아졌고, 같은 맥락에서 남성들의 사회적 지위 또한 변화가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여성의 지위는 급상승했다고 밝히는 것과 같이, 궁정 로맨스의 주인공이었던 기사의 봉건제적 역할은 그 전성기에 비해 축소되었으며, 기사도의 덕목이나 가치 등 그 정신적 요소 또한 전통적인 모습과는 차이가 있었다.
    작품은 남성들과 여성들로 하여금 12세기 기사도 문학에서 부여하던 전통적인 역할을 그대로 수행토록 한다. 그리고 이것으로 말미암아 많은 비평들은 주인공인 가웨인과 중심 소재인 기사도 정신에 집중하여 작품을 읽는다. 하지만 본 연구가 초점을 맞추고 있는 부분은 전통적 아서왕 이야기의 전형과는 사뭇 다른 작중 인물들의 행동과 이에 대한 작가의 태도이다. 비록 인물들이 겉으로는 전통적인 역할을 따르고 있지만 남성들은 전혀 영웅적이지 않고, 기사도의 가치를 따르고 있지 않다. 반면, 수동성을 벗어 던진 여성들은 단순한 악녀 및 요부의 역할이 아니라 상승한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바탕으로 남성 중심의 질서에 도전장을 던지는 등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행동과 태도를 보인다. 특히 여성인물들 중 귀네비어 왕비는 녹색기사에 의해 모든 남성들이 겁에 질려 벌벌 떨고 있을 때 홀로 위엄을 갖춘 자태를 보여주며, 성주 부인은 냉철한 통찰력과 달변으로 기사도 정신의 허점을 찌른다. 마지막으로 모르간 마법사는 가웨인의 모든 여정의 배후에서 남성 중심 사회의 한계를 스스로 드러내도록 지략을 구사한다.
    기존 비평은 가웨인의 실패한 여정을 단순한 인간의 과오로 해석하고, 임무를 완수한 것으로 수용하지만, 이는 남성의 사회에서만 적용되는 자의적 관용의 포용일뿐이라고 본 연구는 주장한다. 그리고 단순히 인간이라서 저지를 수밖에 없는 실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해석하기 보다는 여성의 도전에 의해 남성들의 공허한 기사도 정신의 한계라는 접근으로 작품을 해석한다. 사실 작가가 사용한 아서왕 이야기 원작의 결말은 아서왕 궁정의 붕괴로 마무리되는데, 흥미롭게도 이는 작품이 암시하는 남성 중심 사회의 붕괴와 무척이나 닮아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women's subjectivity in the Middle Ages in England as evident in the alliterative romance 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 The poet of this work brought 12th‐century Arthur stories into the rapidly changing 14th‐century society characterized by the collapse of the feudal system, the raging of the bubonic plague (Black Death), and the schism of churches. He still demonstrates the traditional roles of men and women but depicts their different attitude and behavior to indicate collapsed patriarchic values and women's relatively enhanced subjectivity.
    Focusing on three women in the story, the study delves into the unveiled meaning of their roles which threaten men's order. First, Queen Guinevere appears as a woman of dignified stature on sites where King Arthur and the knights of the Round Table, including Gawain, are troubled and show non‐heroic posture against the Green Knight's intrusion. Second, the castellan’s wife tempts Gawain into an affair, revealing the limitation of chivalric codes that men are struggling to keep with vain efforts. Finally, the witch Morgan fools Gawain into going on his journey but not to surprise Guinevere to death but to disclose men's obsession with their obsolete chivalric role, like a drowning man clutching to a straw, despite their deteriorating social positions.
    Gawain's failed journey was generally regarded as human error, and it was comprehended in men's world only. With the strong challenge from women and their intellectual conspiracy against men's empty chivalric ideals, Arthur's court was destined to fall. Expectedly, men's deteriorated status in the story was in line with women's relatively ascended social positions in 14th‐century Engl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