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들뢰즈와 <무문관>의 화두들 (Deleuze and the Hwadus from No-Door to Gat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7.06
29P 미리보기
들뢰즈와 &lt;무문관&gt;의 화두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79호 / 211 ~ 239페이지
    · 저자명 : 박인성

    초록

    들뢰즈는 그의 저서 『의미의 논리』에서 신라 스님 파초혜청의 화두 “그대들에게 주장자가 있다면, 주장자를 주겠노라. 그대들에게 주장자가 없다면, 주장자를 빼앗겠노라.”에 담긴 부정의 의미를 말라르메와 크뤼시포스가 말하는 부정의 의미와 나란히 놓으면서 ‘의미의 논리’에 의거해서 풀어낸다. 파초혜청의 이 화두는 공안집 『무문관』 제44칙이다. 이 파초혜청의 화두를 포함한 『무문관』의 화두들을 해명하고자 필자가 들뢰즈의 『의미의 논리』에서 선택한 논제들은 의미의 역설들, 비의어와 혼성어, 무의미와 부조리이다. 각 논제에 대한 들뢰즈의 설명을 정리하고 나서, 이를 『무문관』의 화두들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펼쳐가고, 최종적으로 파초혜청의 화두에 대한 들뢰즈의 생각을 밝혀보았다.
    의미는 생성 중인 사건이기에 역설의 관점에서 이해될 때 가장 잘 포착될 수 있다. 들뢰즈는 의미가 계열화할 때 의미의 역설이 발생한다는 점을 간취하고 이 역설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계열화로부터 의미를 떼어내어 무한퇴행의 역설, 불모의 이중화의 역설, 중성의 역설, 부조리한 것의 역설을 찾아내고 단계별로 이를 규정해 간다. 화두도 또한 역설로 이루어져 있기에 들뢰즈가 전개하는 의미의 역설들에 맞추어 파악될 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서, 먼저 의미의 네 역설들을 들뢰즈가 서술하는 순서대로 이해해 가면서 『무문관』의 화두들을 적용해보았다. 또, 의미가 역설로 파악될 때 가장 잘 이해되는 것은 의미가 무의미와 부조리에서 유래하고 또 이것들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음에 무의미와 부조리가 적용될 수 있는 화두들을 『무문관』에서 찾아보았다.
    『무문관』의 화두들을 들뢰즈의 ‘의미의 논리’에 의거해서 분석한 결과, 간화선 수행에 원용되는 모든 화두들을 학적 체계에 넣을 수 있는 실질적인 단서를 얻게 되었다. 무문관의 화두들은 전반적으로 역설적 심급x를 향해 있으면서도 이 심급의 어느 측면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역설적 심급x만을 이야기하는 화두(제5칙 향엄상수), 역설적 심급x 중 말x를 이야기하는 화두(제18칙 동산삼근), 역설적 심급 중 사물x를 이야기하는 화두(제43칙 수산죽비)로 구분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또 여기서 더 나아가 무의미와 의미의 구조를 이야기하는 화두(제44칙 파초주장), 무의미와 부조리를 이야기하는 화두(제26칙 이승권렴) 등이 있다는 점도 알게 되었다.

    영어초록

    Deleuze, French modern philosopher tries to solve Pachohaecheong[芭蕉慧淸]'s Hwadu[話頭] in his work Logic of Sense, saying that if you have a cane, I am giving you one; if you do not have one, I am taking it away. He succeeds in catching the correct meaning of negation involved in the hwadu, along with the meaning of negation involved in Mallareme' words and Chrysippos's phrases. This hwadu is the forty-fourth hwadu of the Collections of Precedent Stories[公案集], No-Door to Gate[『無門關』].
    When we try to solve the hwadus of No-Door to Gate, including Pachohaecheong's hwadu, we can use all the topics in Logic of Sense as guidelines on the interpretation on them. But the topics that I selected in this paper are the four paradoxes of sense, the esoteric words and the portmanteau words, and nonsense and absurdity. I summarize Deleuze's exposition on each topic, and then apply it to the hwadus of No-Door to Gate, and lastly elucidate Deleuze's interpretation on Pachohaecheong's hwadu.
    Since sense is the event that is becoming, we can apprehend it in terms of paradox. Deleuze find out that the paradox of sense occurs when sense is serializing. In order to make this paradox clear, he seperates the sense from serialization and discover the paradox of regress, the paradox of sterile division, the paradox of neutrality, and the paradox of the absurd.
    Since hwadu is composed of paradox, it can be grasped when grasped in accordance with the paradox of sense Deleuze is stating. Therefore, we can apply these four paradoxes to the hwadus of No-Door to Gate. The reason why sense is grasped as paradox is because sense is derived from, and dependent on nonsense and absurdity. So I try to find from No-Door to Gate hwadus that may be applied to nonsense and absurd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Deleuze's ‘logic of sense’, I was able to attain a substantial outcome, which is as in the following. Basically, all the hwadus from No-Door to Gate is directed toward nonsense and absurdity. Most of hwadus from No-Door to Gate tell stories about the paradoxical instances, but make differences according to which aspect they are emphasized on. That is, there are hwadus that tell a story about the paradoxical instance x alone(the 5th archetypal story), ones that tell a story about word x of the paradoxical instance x(the 18th archetypal story), and ones that tell a story about thing x of the paradoxical instance x(the 43th archetypal story). In addition, there are hwadus that tell a story about the structure of nonsense and sense(the 44th archetypal story), and about nonsense and absurdity(the 26the archetypal 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