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文人들의 西域認識 (The perception toward the West of Joseon Writer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5.12
25P 미리보기
朝鮮文人들의 西域認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37권 / 2호 / 157 ~ 181페이지
    · 저자명 : 심호남

    초록

    본 연구는 조선 문인들이 서역과 서역인을 어떻게 인식하였는지 대해 고찰해 본 결과이다. 조선문인들의 서역인식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西域의 개념부터 정리할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의 역사서인 실록과 문집 등을 살펴 본 결과 西域이란 말은 보통 2가지 의미를 지닌다. 첫 번째, 佛敎의 발상지로서의 西域, 두 번째, 중국 너머 서쪽 지역의 통칭이다. 불교의 발상지로서 서역을 언급할 때는 부정적인 인식을 띠지만, 중국 너머 서쪽 지역을 통칭할 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아낼 수 있었다. 지리적인 요인 탓에, 조선문인들은 직접 경험보다는 간접 경험으로 서역과 서역인을 경험하였다. 이는 조선 문인의 서역관이 중국이라는 거대한 필터를 통해서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 문인들은 서역의 지리적 정보를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었다. 비교적 이른 시기인 태종대에 제작된 지도에서도 그 흔적이 드러난다. 그러나 지리적인 정보를 파악한다고 해도 상대를 바라보고 인식하는 방법은 뿌리 깊은 중화중심주의에서는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러나 문명을 가진 상대로서 서역을 바라보고 인정하였다는 점은 확인할 수 있다. 그 인식변화의 주요원인 중 하나는 세계지도의 전래이다. 선교사들이 주로 유포한 세계지도는 중화중심주의를 해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서양의 과학적 지도가 전래된 이후에도 오랜 기간 중화중심주의적 관점에서 서역을 바라보는 세계관은 유지되었다. 이후 직간접 접촉으로 인해 전해진 서양 문물은 조선 문인들에게 서역을 개명하고 신비한 존재로 인식하게 하였다. 특이한 점은 천주교를 박해한 조선에서, 중국에 파견된 서양의 선교사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는 점이다. 마테오리치(중국명: 利瑪竇)와 로드리게즈(중국명: 陸若漢), 줄리오 알레니(중국명: 艾儒略) 등 선교사 일행은 우리나라의 기록에서도 긍정적인 표현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마테오리치 등이 서양의 앞선 과학기술을 선교의 수단으로 널리 활용한 결과로 여겨진다. 그러나 유학을 부정하거나 유학의 이념과 맞지 않는 부분은 배격하는 면모도 여전히 이어졌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he result of considering the matter of how the literary men of Joseon Dynasty perceived the West and its people. Primarily, there is a need to organize the basic concept of the West in order to apprehend the recognition toward the We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searching through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which is a historical book representing the Joseon Dynasty, the word ‘The West’ have two different meanings. First, it is understood as the cradleland of Buddhism. Secondly, the word refers to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When we refer to ‘the West’ as the cradleland of China, it is common for us to think of negative recognitions toward China, but when we refer to the nations near the west region of China, our perception toward the word is positive. Due to the geographical features, the writers of Joseon Dynasty first encountered the Western China and its people through indirect experience, not by direct experience. This means that Joseon writers’ perception toward the Western China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immense filter called, ‘China’. Despite this fact, Joseon writers comprehended the geographical factors of the Western China relatively precisely. It is proved by the map which was made during the period of King Tae-Jong, which is comparatively early to know about foreign nations.
    Nevertheless, even though they perceive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ccurately, the literary men of Joseon failed to take an objective view toward the West due to the deeply rooted Sino centrism which was prevalent in Joseon culture. However, we can still tell that they recognized the West in terms of civilization. The main factor of this cognizance change was the introduction of the World map. The maps which were spread through western missionaries, had is intention on resolving the problem of severe Sino centrism in the Joseon Dynasty era. Since then, western civilization which were conveyed through both direct and indirect contact made literary men of Joseon Dynasty to perceive the West as an enlightened and mysterious world. The unique thing is that, the missionaries who were dispatched to China from the West were perceived positively by the Joseon writers, despite the fact that the Joseon Dynasty persecuted and oppressed Catholicism in earlier period. The members of the missionary such as Matteo Ricci, Rodriguez, and Giulio Aleni receive a favorable evaluation and appears in historical records as a positive figure in Korea. This is viewed as a result of Matteo Ricci actively employing and using the highly-advanced scientific technology of the West. Though, there also existed negative aspects toward the west in terms of portions which rejected or did not fit with the concept of Confucianism of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