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혁명하는 여성들의 서사적 입지-『혁명적 여성들』(배상미, 소명출판, 2019)을 읽고 (The Status of Narrative on Revolutionizing Women : After reading Revolutionary Women(Bae Sang-mi, Somyung, 2019))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0.06
28P 미리보기
혁명하는 여성들의 서사적 입지-『혁명적 여성들』(배상미, 소명출판, 2019)을 읽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59권 / 531 ~ 558페이지
    · 저자명 : 류진희

    초록

    최근 페미니즘 ‘리부트’ 혹은 대중화 이후, ‘이성애-엘리트-남성’ 중심의 한국문학사를 상대화하고, 이와 다른 여성서사의 가능성을 탐구하려는 흐름이 거세다. 여성작가들이 쓴 여성에 대한 여성적인 이야기로 여성서사를 정의하자면, 사회주의적 성향으로 종종 ‘남성적’으로 평가됐던 여성작가들에 대한 접근이 한계를 갖는다. 여기에는 정치가 금지된 식민지 매체 장에서 그를 보충하는 문화로서 여성과 여성적인 것들이 내세워진 역사적 맥락이 있는 것이다.
    배상미의 『혁명적 여성들-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젠더, 노동, 섹슈얼리티』(소명출판, 2019)는 카프문학과 여성작가 사이에 놓인 곤란을 에둘러서, 확장된 의미의 프롤레타리아 소설에서 여성노동이 얼마나 다양하게 드러나는가를 조망한다. 이로써 카프라는 단체의 명멸에 맞춰 1925년에서 1935년 사이를 시대적 배경으로 했던 프롤레타리아 서사는 1940년대 전반까지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공장노동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유무급의 재생산노동과 서비스노동까지가 시야에 들어오게 된다. 이는 여성문학에서 계급서사를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프로문학을 여성서사로 읽겠다는 의지에 다름없다.
    이로써 신여성 역시 여성노동자의 일부로 위치되면서, 남성의 얼굴을 한 프롤레타리아 역시 상대화되는 것이다. 또한 조선의 프롤레타리아 소설이 여성을 경유하지 않고서는 생성되지 못했음도 지적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서 최대한 텍스트를 선해하여 부감시켜낸 여성인물들이 오롯이 “노동자들이 사회의 주인이 되는 세상에 대한 비전”을 담고 있는지는 다시 생각해볼 만하다. 다시 말해 이 책 자체가 ‘성장-갈등-전망’이라는 선형적인 구성을 가질 때, 결국 마지막에 초점화되는 여성 서비스노동자가 과연 어떤 대안적인 미래를 제시하게 되는지 궁금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특정 직군에 종사하는 여성이 자신의 노동이 아닌 남성의 사상에 몰두하게 되는 서사가 제국/식민지 체제를 균열낼 수는 있겠지만, 그러나 지배질서에 포섭되지 않는 도전적 실천으로까지 의미될 수 있는지 질문했다. 결국 이 책에서 다룬 여성노동자들은 기존 노동의 개념을 혁명적으로 바꿔내는 동시에, 직접적으로 제국/식민지 체제에 대항하는 혁명하는 여성들을 내세울 수는 없는 빈 곳을 가리킨다고 생각한다. 여전히 이론적 배경과 조직적 자원을 가진 혁명하는 여성들에 대한 서사는 아직 도래할 시간이 필요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Since the recent ‘reboot’ or re-popularization of feminism, there has been a notable trend of relativizing Korea’s literature’s historical focus on ‘heterosexual love & elite & male’ and exploring the potential of female narrative. This paper states that defining female narratives as feminine stories about women written by female writers makes it more difficult to approach to particular female writers who are often regarded as “masculine” and have a more socialistic orientation. This has a historic context in which women and feminine things were presented as a culture to make up for politics prohibited in the colonial media field.
    Revolutionary Women by Bae Sang-mi(Somyung, 2019) provides an overview of the wide-ranging expression of female labor in proletarian novels, defined broadly, without touching on the issue between KAPF literature and female writers. With this, proletarian narratives set in the period between 1925 and 1935 in line with the history of the KAPF organization can be extended to the early 1940s. Moreover, their scope can be expanded to include not only factory labor but also paid and unpaid reproductive labor and service labor. This evidently shows the will to read proletarian literature through the lens of female narrative rather than working to identify class narratives in female literature.
    This also places the modern women as a part of female laborer, in turn relativizing the man=faced proletariat. It can also be noted that creating proletarian novels was impossible without going through wom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is paper nevertheless expresses doubts over whether the female characters interpreted favorably in Revolutionary Women truly embody the "vision for a world where laborers become the owners of society.” Specifically, it is not clear how the female service worker highlighted at the end of the book can present an alternative future when the book itself exhibits an ascending “growth-conflict-outlook” structure.
    This paper concludes that narratives in which women in certain occupations becomes immersed in men’s ideologies rather than their own may undermine the imperialistic/colonial system, but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 defiant action against the dominant order. After all, the female workers addressed in this book seem to point towards an empty space in which revolutionary women who transform the pre-existing concept of labor and directly resist the imperialistic/colonial system can not be put forth. More time may be needed for narratives about revolutionizing women with theoretical background and systematic resources to come to the fo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