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제국기 신지식인들의 탈유학적 양상들— 근대 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expanded searching for the Oriental Philosophy of the New intellectuals in 20th century Korea: Focus on modern magazine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4.02
30P 미리보기
대한제국기 신지식인들의 탈유학적 양상들— 근대 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80호 / 145 ~ 174페이지
    · 저자명 : 윤태양

    초록

    서구 제국주의의 실력과 자국의 열세를 뼈아프게 자각한 대한제국기 신지식인들은 대체로 서구적 근대화의 전철을 밟아 문명한 독립 국가 건설을 꿈꿨다. 이들은 새로운 매체인 신문과 잡지를 통해 계몽과 자강을 이뤄내려 했다. 당시의 위기를 성리학적 세계관의 한계로 인정했던 신지식인들은 서구를 수용함으로써 이를 극복하고자 했다. 동아시아의 주류 학술이었던 유교에 비판이 이뤄짐에 따라 신지식인들의 전통에 대한 모색의 범위도 유교 밖 제자백가로 넓어졌다.
    지금 ‘동양철학’에 제자백가는 당연히 포함된다. 그렇다면 ‘동양의 전통’이 확장되고 있던 20세기 신지식인의 제자백가에 대한 태도나 활용은 어땠을까. 이 논문은 당시 신지식인들의 주된 담론 매체 중 하나였던 잡지를 중심으로 확장된 전통적 사유의 하나로 제자백가에 대한 탐색의 양상을 규명하고자 근대잡지가 창간되기 시작한 1896년으로부터 국권피탈과 함께 언론이 중단되기 직전인 1909년까지 발간된 잡지 안에서 특히 관자(管子)와 묵자(墨子)를 다룬 기사를 분석한다.
    제자백가에 대한 탐색은 17세기 후반 이후 실학자들에서도 확인되었고, 신지식인들의 탐색 역시 조선 후기로부터의 면면한 흐름 안에 있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이런 맥락에서 이 논문은 관자와 묵자라는, 유가의 전통적 대적자들을 중심으로 이들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확인한다. 이용후생이라는 실질적 목표가 이론의 가치를 판정하는 더 중요한 기준으로 대두되면서 우주론과 인성론을 주로 연구했던 성리학의 지위는 독존에서 ‘공맹에 대한 하나의 해석’으로, 망국을 초래했다는 비판의 대상으로 옮아갔다. 동시에 양명학과 같은 유학 안에서의 대안이 주목받기도 하고, 관자나 묵자 같은 제자백가로도 시선이 넓혀졌다. 그리하여 이기의 「양묵변」에서는 묵자에 대한 억압을 한탄하고 이러한 억압을 초래한 맹자를 비판하기에 이르기도 한 것이다.

    영어초록

    New intellectuals during the Korean Empire, who were painfully aware of the prowess of Western imperialism and their country's inferiority, generally dreamed of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Western modernization and building a civilized independent state. They tried to achieve enlightenment and self-renewal through new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The new intellectuals, who recognized the crisis at the time as a limitation of the Neo-Confucian worldview, tried to overcome it by accepting the West. The scope of the new intellectuals' search for traditions expanded to include the Hundred schools even they were counted as the outside or enemies of Confucianism in the Joseon period.
    Of course the Hundred schools were the one of most important "Oriental Philosophy". Then, what was the attitude and use of the new intellectuals in the 20th century toward the Hundred schools when the "Oriental Tradition" was expanding? This paper analyzes articles focused on Guanzi(管子) and Mozi(墨子), especially in magazines published from 1896 when the modern magazine began to 1909, just before the media was suspended, centering on the modern magazine, which was one of the main discourse media of the new intellectuals at the time.
    The search for the Hundred schools had also been confirmed by Silhak(實學) scholars since the late 17th century in Joseon, and it seems clear that the search of new intellectuals were also within the trend from these aspects. In this context, this paper confirms how perceptions and attitudes had changed, centering on the traditional opponents of Confucianism, such as Guanzi and Mozi. As the practical goal of welfare(利用厚生) emerged as a more important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value of theory, the status of Neo-Confucianism, which mainly studied cosmology and personality theory, shifted from independence to 'an interpretation of communism' and to the object of criticism for causing ruin. At the same time, alternatives within the study abroad, such as Yangmyunghak(陽明學), attracted attention, and the view was also broadened to student white families such as temples and Mozi. Thus, in Yi Ki's "Yangmukbyeon(楊墨辯)", he lamented the oppression of Mozi and criticized the Mencius who caused such oppr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