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섬을 이루는 선들: 파주 임진강변 섬 벌판의 역사와 중층적 경계들 (The Lines That Make Up an Island: The History of the “Seom” Field in Pajuand Multiple Boundari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3.11
32P 미리보기
섬을 이루는 선들: 파주 임진강변 섬 벌판의 역사와 중층적 경계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26권 / 2호 / 7 ~ 38페이지
    · 저자명 : 이수유

    초록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에서 임진강에 접해 있는 마을의 주민들은 자유로 너머에 있는 강변의 벌판을 “섬”이라고 부른다. 본 연구는 현재의 섬 벌판이 여러 종류의 경계들이 작동해온 과정의 산물이며, 이 선들이 만들어지거나 변화하는 가운데 장소의 의미 또한 달라져 왔음을 고찰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및 구술 자료를 토대로 임진강변 섬 벌판의 역사를 살펴보며, 이 과정에서 세 가지 유형의 선에 주목한다. 첫 번째는 강의 범람을 막고 농지를 넓혀가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경계로서, 이는 강물과 땅 사이의 자연적 경계를 관리 가능한 형태로 바꾸어가는 인간적 노력의 산물이다. 두 번째는 한국전쟁 이후 군사분계선에 인접하여 일반인들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만들어진 선, 즉 민간인통제선으로, 국토 내의 자연지리적 공간 위에 부가되는 군사적 혹은 정치적 구획이다. 세 번째는 1990년대에 파주와 서울을 연결하기 위해 준공된 자유로로서, 지역의 변화를 가속화하는 한편 마을과 마을 밖을 나누는 실질적인 통제선으로 자리해 온 경계이다. 본 연구는 하나의 장소를 관통하면서 작동하는 자연적, 기술적, 정치적 경계들의 생성과 변모 과정을 조명하면서, 경계의 유동성과 중층성을 드러내고 역사적 변화의 과정 안에서 장소의 의미가 다각화되는 양상을 조명한다.

    영어초록

    Residents of the villages neighboring the Imjin River in Tanhyeon-myeon, Paju-si, Gyeonggi-do, call the field along the river beyond Jayu-ro as “Seom,” originally meaning an island.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the Seom field as a product of a transformative process shaped by various types of boundaries, leading to changes in the significance of the space delineated by these boundary lines. Through an analysis of literature and oral data, this study traces the history of the Seom field along the Imjin River,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ree types of boundary lines. The first is artificial river banks that were established to manage river flooding and expand agricultural land, representing human efforts to transform the natural boundary between river and land into a manageable form. The second is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known as the civilian control line (CCL), to restrict public access after the Korean War, thereby imposing a military or political division on the country's geographical space. The third is Jayu-ro, the highway constructed in the 1990s to connect Paju and Seoul, which has become a practical boundary line separating the field from villages while causing regional changes. This study delves into the process of creating and modifying natural, technical, and political boundaries within a specific place, highlighting the fluidity and multiplicity of boundaries and the evolving significance of the area within the context of historical 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0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