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타자들의 '목소리'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들에서의 사운드와 이미지의 관계 ('Voice' of Others: Sound-Image Relations in the Korean Feminist Documentary Film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08.11
29P 미리보기
타자들의 '목소리'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들에서의 사운드와 이미지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상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예술연구 / 13호 / 113 ~ 141페이지
    · 저자명 : 남인영

    초록

    한국 독립다큐멘터리 영화에서 발화자와 관련된‘주체성’의 문제는
    연구자들 사이에서 주요한 쟁점이 되어 왔다. 1990년대 초반에 전성
    기를 구가했던 초창기 다큐멘터리들의 공통된 특징은 사회적 타자들
    이 구성원인 상상의 저항 공동체를 구축하고자 하는 욕망과, 공동체
    의 일원이자 저항운동의 참여자로서의 제작자의 위치, 이러한 제작자
    를 포함하는 저항 공동체의 통일된‘목소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일된‘목소리’는 2000년을 전후로 한국독립다큐멘터리 영
    화들에서 점차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이 시기를 전후로 한국독립
    다큐멘터리영화에 나타난 가장 큰 변화는 제작자의‘기입’이다. 음성
    과 형상을 통하여 제작자의 존재감이 의도적으로 느껴지게 하거나 아
    예 작품의 주인공이거나 등장인물로 화면 안에 등장하여 이야기의 주
    인공이자 해설자의 역할을 동시에 취한다. 이러한 방식들은 고전적인
    다큐멘터리 영화의 관습과 그것에 내재하는 이데올로기적 원칙과 윤
    리를 반성적으로 질문하면서, 객관성/주관성, 공적인 것/사적인 것,
    집단/개인, 주체/대상, 자아/타자, 보편성/특수성 사이의 경계를 흐리
    고 전복, 재배치시켜 왔다. 이렇게 관습적인 이항대립들을 허물고 재배치하는 과정은 다큐멘
    터리 영화가‘새로운 주체성’을 구축하는 것과 관련지을 수 있다. 본
    고에서는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특히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
    놓고 있는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다큐멘
    터리들이 함축하는 새로운 주체성이 사운드의 창조적인 사용과 밀접
    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여성주의 다
    큐멘터리의 정치적 성찰적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기초로
    영화 사운드와‘목소리’에 대한 여성주의의 개입에 대해 탐색하고 이
    를 분석의 지지대로 삼았다. 그리고 사례 연구로 <이반검열1>과 <우
    리들은 정의파다>가 취하고 있는 사운드-이미지 전략을 분석하고 이
    영화들에서 사용되는 사운드 전략이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새로운 주
    체성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여성주의 다큐멘터리들에서 사운드의 영역은 육화된 목소
    리로서 사회적 타자들의 주체성을 구축하는 유연한 방법을 실험하는
    장이 되어 왔다. <우리들은 정의파다>는 이야기의 주축을 구성하는
    여성노동자들의 인터뷰를 인사운드로 처리한다. <이반검열1>의 내레
    이션 또한 비화면영역의 사운드이지만 화면 안에 발화자 즉 음원의
    위치를 생생하게 구축함으로써 인사운드와 매우 유사한 효과를 생산
    한다. 이렇게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거의 강박에 가까
    울 정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의식적으로 전경화되는 인사운드의 전략
    은 여성을 탈육체화하고 대상화하는 역사쓰기와 가부장적인 담론에
    대항하고자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question of subjectivities in the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films has brought diverse debates among the film
    scholars and critics. Many studies agree to the point that the pioneer
    works of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films in the early 1990s
    shared several qualities: the desire to construct imagined oppositional
    communities for the social others; the position of the filmmaker who is
    a member of such community as well or assumes herself/himself as one
    of them; the construction of unified ‘voice’ of the filmmaker and social
    characters of the text as others. Significant changes, however, occurred
    in the subject representations in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films
    since 2000. It seems to me that the new independent documentary films
    attempted to construct new subjectivities by questioning the
    conventions of traditional documentary films and the embedded
    ideologies, and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public and personal, collective and individual, self and
    other, and universal and particular.
    Based on the discussions on the politically reflective strategies of
    feminist documentary films and inspired by the feminist interventions
    on the theoretical positions regarding ‘voice’ of the cinema,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how Korean feminist independent documentary
    films, in particular, construct differently ‘voice’ and subjectivity of
    female other. Lesibian Censorship in School 1 and We are Not
    Defeated are the case. Both the films take distinguished sound-image
    strategy: insisting on in-sound or unique mixing the in-sound
    combination, sound originated from the outside of frame, and offsound.
    In conclusion, both the films successfully construct female
    subject positions to resist the dominant male-centered history-writing
    that has made the female subjects silent or their bodies as object
    without their own vo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