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에 흥미를 가진 학생들과 일반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 양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Forms of Historical Thinking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Strong Interest in History)

7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6.07
72P 미리보기
역사에 흥미를 가진 학생들과 일반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 양상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교육연구 / 25호 / 49 ~ 120페이지
    · 저자명 : 윤종필

    초록

    본 연구는 역사에 흥미를 가진 학생들과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련의 연구 활동을 실시한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의 역사적 사고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활동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에 흥미를 가진 학생과 일반 학생 모두 교과서에 대한 강한 신념을 공유하고 있었다. 전자의 경우 모든 역사적 해석은 일차 사료에 근거해야 한다는 일차 사료의 우선적 중요성에대한 개념을 갖고 있었지만 여전히 『일본서기』와 『삼국사기』와 같은 일차 사료보다는 교과서를더 신뢰하였다. 더 나아가 이들은 실제적으로 일차 사료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과정에서는 그러한개념을 엄밀하게 적용시키지 못하였다. 일반 학생 중에 지문의 신뢰도를 일차 사료와의 연관성속에서 판단한 학생은 상당히 적었다. 결과적으로 교과서의 신뢰성에 대한 강한 신념은 학생들이일차 사료와 이차 문헌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방해가 되었고 그리고 그것이 제대로 된 출처 확인작업을 막는 결적정인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역사적 사고를 위한 역사교육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교과서에 대한 인식과 학생들이 교과서의 성격을 다각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는 교수·학습 모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역사에 흥미를 가진 학생들은 일반 학생들보다 고대 한·일 관계사(특히 임나일본부설) 내용뿐만 아니라 『삼국사기』와 같은 일차 사료에 대한 많은 선행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역사에 흥미를 가진 학생들은 역사적 자료를 이해하고 판단하는 데 있어서 그것의 서술 형식과 내용 및 다른자료와의 상호 관련성뿐만 아니라 선행지식과의 일치 여부를 고려하였다. 이에 반해 일반 학생이선행지식을 활용하여 자료를 평가하는 경우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선행지식의 보유가역사적 사고 능력과 절대적 비례 관계에 있지는 않았다. 선행지식이 역사학에 있어 일차 사료와이차 문헌의 성격에 대한 불완전한 개념적 이해와 결합하는 경우 오히려 온전한 역사적 사고를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사에 흥미를 가진 학생은 지문이 임나일본부설을 지지하는 내용인지 아니면 그것을반박하는 것인지 여부에 일반 학생들보다 민감하게 반응했으며 그것을 식별하는 능력도 뛰어났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일반 학생들은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지지 여부보다는 지문의 내용과 서술방식에 초점을 맞춰 신뢰도를 평가했다.
    넷째, 역사에 흥미를 가진 집단과 일반 집단에서 일차 사료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맥락적 사고 를 시도하는 경우는 관찰되지 않았다. 두 집단의 학생들 모두 지문의 문자적 내용과 표현상의 특징을 중심으로 일차 사료의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맥락화가 역사적 사고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평가되어오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이것은 상당히 주목해야 할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역사에 흥미를 가진 학생들은 객관/주관, 사실/해석, 실재/사고의 이분법에 기반을 둔인식론적 입장에서 역사 지식을 바라보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그러한 인식론적 입장은 학생들이 한국의 역사적 내러티브가 객관적인 사실이며 과거의 실재를 반영하고 있다는 강한 신념을 갖도록 하는 사고의 토대를 만들어 주었다. 이것은 이 집단에 속한 학생들 중 일부가 한국의 내러티브를 역사적 진실로 받아들이면서 그것에 대한 일치·불일치를 기준으로 일차 사료의 신뢰도를판단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물론 역사에 흥미를 가진 학생들은 단순한 역사적 사실의 암기 수준을 넘어 서술 내용과 방식, 다른 자료와의 관련성, 그리고 선행지식과의 일치 여부를 고려하여 지문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사고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그러한 비판적 사고가 일본의 자료에만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경향이 있었다. 즉 한국 내러티브의 역사적 진실성에 대한 강한 신념이 올바른 출처확인 작업을 방해하는 동시에 역사적 사고 방법의 적용에 있어서 비일관성을 유발시켰다고 할 수 있다. 일반 학생들도 객관과 주관이라는 이분법적 입장에서 역사학을 바라보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이 집단에 속한 학생 중 2명은 역사학에서 엄격한 객관과 주관 혹은 사실과 해석의 구분은 불가능하며 모든 역사 서술은 저자의 관점이 투영될 수 밖에 없다는 인식론적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역사적 상대주의로 다소 부주의하게 기우는 모습을 보였고 그러한상대주의적 인식으로 인하여 역사에 대한 관심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with strong interest in history and students taking little or only a mediocre interest in the subject in terms of the ways they think of history and solve historical problem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s students’ historical thinking with focus on the following elements: (1) the relationship between primary material and secondary literature, (2) sourcing, (3) corroboration, (4) contextualization, and (5) the understanding of the epistemological problems inherent in history as a discipline.
    First, all students both with and without acute interest in history shared a strong faith in thetrustworthiness of the history textbook. The former, while possessing the idea that historical interpretation should be based on primary material, still trusted the textbook more than primary texts like the Nihon shoki and Samguk sagi. Nor did they exhibit the ability of applying the idea in their actual readings of the primary texts.
    Second,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history had more knowledge of the ancient history between Korea and Japan, the Imna controversy in particular, and the relevant primary texts including the Samguk sagi than the ones who were not. However, having prior knowledge did not necessarily mean excellence in historical thinking because it, when being coupled with an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materials, was observed to keep students from conducting historical thinking properly.
    Third, the former group paid more attention than the latter did to whether the text was for or against the existence of Imna and had a keen eye for identifying its position on the subject.
    Fourth, students from both groups were hardly seen to perform contextualization. They tended to evaluate the trustworthiness of the primary sources exclusively focusing on the terms used and their literal meanings.
    Fifth, students interested in history exhibited the tendency to approach history from the ‘fact/interpretation and reality/mind’ dichotomous epistemological point ofview. And that kind of view laid the foundation for their strong faith in that the Korean historical narrative accurately reflected the states of affairs in the past, which explains their behavior of assessing the reliability of primary sources in terms of whether they corresponded with the Korean narrative.
    Students with strong interest could do more than just memorizing and reciting facts. They were able to assess historical text taking into consideration its various aspects like what it tried to say and how it said, in what relations it stood to other texts, and how it related to their prior knowledge, all of which were indicative of their ability to perform historical thinking. Nonetheless their critical thinking was selectively applied to the Japanese texts. Therefore, their faith in the Korean narrative not only prevented them from performing sourcing properly, but made them apply the methods of historical thinking in an inconsistent manner. Students less interested in history, too, shared dichotomous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of history. However, two students in the group believed there cannot be clear-cut distinction between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and every historical narrative is penetrated by the author’s point of view. These students tended to rather carelessly incline toward historical relativism, which in turn reduced their interest in history to a certain degree.
    This study will provide history teachers with some clues with respect to what kind of issues they have to raise and what aspects of students’ thinking they should tackle in order to help students think historic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