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터키어의 연결음들 (The gap-filling sounds in Turkish)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03.06
9P 미리보기
터키어의 연결음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알타이학회
    · 수록지 정보 : 알타이학보 / 13호 / 159 ~ 167페이지
    · 저자명 : Talât Tekin, 이용성

    초록

    이 글은 1999년 5월 13일~15일에 이스탄불의 보스포루스 대학교 (Boğaziçi Üniversitesi)에서 열린 제 13회 (터키) 언어학 회의에서 “Türkçe’de kaynaştırma sesleri [터키어의 연결음들]”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되어 2000년에 이스탄불에서 A. Sumru Özsoy 및 Eser E. Taylan의 편집으로 다른 발표문들과 함께 XIII. Dilbilim Kurultay Bildirileri, 13.~15. Mayıs 1999, Boğaziçi Üniversitesi [제13회 언어학 회의 발표문들, 1999년 5월 13일~15일, 보스포루스 대학교]라는 책으로 발간된 Talât Tekin의 글 (pp. 109-112)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이 글에서 다루지 않은 것으로, 자음으로 끝나는 낱말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접미사가 이어질 때에 두 자음 사이에 들어가는 연결 모음 /ï, i, u, ü/가 있다. 이들 모음은 대개 접미사의 일부로 간주된다: baba-m “나의 아버지”, 그러나 ev-i-m “나의 집”; ütü-n “너의 다리미”, 그러나 göz-ü-n “너의 눈”; şemsiye-miz “우리의 우산”, 그러나 kız-ı-mız “우리의 딸”; rüya-nız “너희/당신의 꿈”, 그러나 yol-u-nuz “너희/당신의 길”; oku-t- “읽히다, 공부시키다”, söyle-ş- “함께/서로 말하다, yıka-n- “씻기다; 자기 몸을 씻다”, 그러나 ak-ı-t- “흘리다, 흐르게 하다”, böl-ü-n- “나뉘다”, kes-i-l- “잘리다”, vur-u-ş- “서로 치다, 때리다, 싸우다” 등등.

    영어초록

    One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that the linguists and grammarians of Turkey have difficulty in explaining is the appearance of consonants /y, n, s, ş/ between the final vowel of a word and the initial vowel of the suffix. In Turkic languages and dialects, the only gap-filling sound between two vowels is /y/. The consonant /s/ appearing between the final vowel of a word and the third person possessive suffix {-I} might be a plural suffix by origin; {-sI} has been regarded later through syllabication and false analysis as the variant of the third person possessive suffix {-I} after a vowel. The variant {-şAr} after a vowel of the distributive suffix was also fixed through syllabication and false analysis. The consonant /n/ in the declension of the demonstrative pronouns and in the declension of words with the third person possessive suffix was originally the final sound dropped in the nominative case. The consonant /n/ after a vowel in the genitive case was fixed through syllabication and false analysis. The consonant /n/ in the declension of words with the suffix {-ki} is presumably a part of that suffix. The consonant /n/ in the declension of kendi is the result of an false analy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