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후반 북한 그라휘크 미술의 쟁점들 - 『조선미술』에 실린 해외 포스터 전시들과 포스터 담론들을 중심으로 (Issues in North Korean Graphic Art in the Late 1950s - focusing on foreign poster exhibitions and discourse on domestic posters by articles in Joseon Misul)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9.12
12P 미리보기
1950년대 후반 북한 그라휘크 미술의 쟁점들 - 『조선미술』에 실린 해외 포스터 전시들과 포스터 담론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0권 / 6호 / 103 ~ 114페이지
    · 저자명 : 김소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에서 열린 국제 포스터 전시와 당시 논의되었던 담론들을 통하여 1950년대 후반그라휘크 미술(Graphic Art)의 대표적 분야였던 포스터에 관한 이슈들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1950년대 후반북한의 예술계는 1960년대 주체미술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이전으로, 그 어떤 시기보다 역동성을 지닌 시대였다. 본 연구는 당시 북한의 대표적 미술 잡지였던 『조선미술』에 실린 북한에서 열린 해외 포스터 전시들에 관한 문헌들과 같은 시기 북한 내에서 논의되었던 포스터 관련 담론들을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957년에 평양에서 폴란드 포스터 70여 점이 소개된 <파란 쁠라까트 전람회> 와 이듬해 소련, 중국, 몽골, 베트남, 불가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독일 등에서 355점의 포스터가 전시된 <조선인민군 창설 10주년 쏘련 및 인민 민주주의국가 포스타 전람회>의 전시평을 연구하였다. 또한 같은 시기 『조선미술』에 실린 정현웅과 엄도만의 포스터 담론을 통하여 이 시기의 북한 내 포스터가 어떠한 이슈들을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북한의 작가들은 당시 전시된 포스터의 주제보다는 포스터의 다양한 기법들을 주목하였으며, 국가별로 포스터의 특징을 설명하며 북한 포스터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나타냈으며, 질 좋은 포스터를 만들기 위한 인쇄술 향상의 필요성을강조하였다. 또한 이 시기의 포스터 담론들은 그라휘크 분야에 대한 사회적으로 낮은 인식과 낙후된 인쇄술의발전 필요성, 그리고 획일화된 포스터 구성 방식을 문제 제기하였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1) 포스터 작가의전문적 육성, 2) 정치적 이념을 초월한 포스터의 장르적 특수성 파악, 3) 지도자들의 포스터 전문 지식 쌓기, 4) 포스터 평가 절차의 간소화를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초기 자료의 분석은 주체미술이 확립되기 이전주요 쟁점들과 그에 대한 배경을 파악함으로써, 북한 포스터의 통시적인 흐름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단초를 제공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North Korean exhibitions exhibiting foreign posters, which represent the concurrent trend of Graphic art, and to examine the relevant issues through the discourse in the late 1950s. North Korean artistic circles in the late 1950s were more dynamic than ever, in that the Juche (self-reliance) art movement started to prevail in the 1960s.
    This study covers the literature about overseas poster exhibitions in North Korea, such as articles in the iconic art journal Joseon Misul, and the controversies regarding the themes and methods of the posters in the North. In detail, the study focuses on reviews of the <Poland Plakat Exhibition>, which featured about 70 Polish posters in Pyongyang in 1957 and the <1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Korean People's Army>, which featured 355 posters from the Soviet Union, China, Mongolia, Vietnam, Bulgaria, Romania, Hungary and Germany in 1958. Also,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xt of discussions between Artist Jeong Hyun-woong and Um Do-man, through the articles in the magazine Joseon Misul.
    According to the research, North Korean artists paid more attention to various techniques of posters than to the subjects of foreign posters displayed. They illustrated the characteristics of posters from different countries, which led to deliberation over the identity of North Korean posters. Finally, they emphasized a necessity to improve printing techniques to make quality posters. In addition, concerns were raised about the low levels of social awareness regarding the graphics, the under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ies, and the uniformity in compositions of posters. Consequently, the following solutions were recommended: 1) fostering poster writers' expertise; 2) identifying common characteristics of posters transcending political ideologies; 3) enhancing the expertise of society leaders on posters; and 4) simplifying procedures of the poster assessment. The analysis of these early North Korean poster materials provides a clue to understanding the usual flow of North Korean posters by identifying key issue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Juche (self-reliance) art and its backgr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데터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