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라이프니츠 철학의 결정론적 성격 -반론들과 그에 대한 대답들 (Deterministic nature of the philosophy of Leibniz -Objections and answer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4.09
40P 미리보기
라이프니츠 철학의 결정론적 성격 -반론들과 그에 대한 대답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42호 / 271 ~ 310페이지
    · 저자명 : 박제철

    초록

    필자는 이전의 논문에서 라이프니츠가 어떤 방식으로 결정론이라는 철학적 입장에 빠져들게 되었는지를 보인 바 있다. 그 논문에서 필자는 라이프니츠가 구문론적인 방식으로(P → □P), 그리고 의미론적인 방식으로(개체의 통세계적 동일성 부정) 결정론에 개입하고 있음을 보였다. 일군의 주석가들은 필자의 주장과 마찬가지로, 라이프니츠가 결정론에 빠지게 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일군의 주석가들은 라이프니츠를 결정론으로부터 구제할 수 있는 그러한 해석이 가능하다고 본다. 본 논문은 라이프니츠를 결정론으로부터 구제할 수 있다고 보는 이러한 해석적 입장들을 고찰한다. 그리고 그러한 고찰을 통해 본 논문은 이러한 해석적 입장들이 라이프니츠 철학에 대한 오해에 기반하고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핵심은 명제 필연과 사물 필연의 구분이다. 라이프니츠의 철학을 해석함에 있어 이 두 개념은 조심스럽게 구분되어야 한다. 이 두 개념이 구분될 때, 우리는 라이프니츠가 어떻게 결정론에 개입하는가를 이해할 수 있다. 라이프니츠 철학을 해석하는 모든 주석가들이 이 구분을 명확히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 결과 그들은 라이프니츠를 결정론으로부터 구제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래서 우리가 만약 이 두 개념을 엄밀히 구분하는 것으로 우리의 논의를 시작한다면, 우리는 이러한 주석가들이 어떤 지점에서 오류를 범하고 있는지 분명히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Dans l'article précédent, j'ai montré que la position philosophique de Leibniz est déterministe. Là, j'ai montré que Leibniz intervient au déterminisme à la manière syntaxique (P → □P), et le mode sémantique(négation de l'identité trans-mondiale de l'objet). Un groupe de commentateurs, comme la conclusion de cette article, concluent que Leibniz tombe dans le déterminisme. Cependant, un autre groupe de com- mentateurs pensent qu'on a moyen interprétative de sauver Leibniz de ce déter- minisme. Cette article étude une telle interprétation. Et puis, par cette enquête, ce document pourrait faire voir que cette interprétation est basée sur la confusion de la philosophie de Leibniz.
    La clé est la distinction entre la nécessité De dicto et De re. Interprétation de la philosophie de Leibniz doit séparer ces concepts avec soin. Il faut que les deux concepts soient bien séparés, sinon, nous ne comprenons pas comment Leibniz peut être impliqué dans le déterminisme. Les commentateurs de la philosophie de Leibniz ne sont pas tous connaissants de cette distinction, en conséquence, ils pensent qu'on peut sauver Leibniz du déterminisme. Donc, si nous distinguons strictement entre ces deux concepts, nous serons certainement en mesure de révéler que ces commentateurs fassent des erreu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