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못 들은 척과 침묵 -김유정 문학에서 듣기의 양상과 그 의미 (Pretending not to hear and Silence -Aspects of Listening and its Meaning in Kim Yoo-Jung's Literatur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2.12
37P 미리보기
못 들은 척과 침묵 -김유정 문학에서 듣기의 양상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88호 / 247 ~ 283페이지
    · 저자명 : 석형락

    초록

    이 연구는 김유정의 전기적인 행적에 착안하여, 김유정 문학을 듣기의 시각에서다시 읽은 결과물이다. 김유정은 인물 간의 대화를 작품에서 많이 활용했다. 그의작품에서 듣기는 인물의 성격이나 됨됨이를 제시하고, 사건 전개의 계기로 작용한다. 또한 비극적 결말의 원인으로 기능하거나 인물의 주체화 과정의 토대로 작용한다. 이 연구는 김유정 문학에서 인물들이 상대의 말을 정확히 듣기보다는 듣고 싶은 말만 들으려 하며, 이러한 듣기가 자신들이 처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원인이 된다는 점을 밝혔다. 이어 김유정이 듣기에서 정보의 전달보다는 듣기 주체의태도를 중요하게 보았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두포전」과 「산골」이 듣지 않으려는인간의 비극적 최후와 들으려는 인간의 주체화 과정을 대조하고 있다는 것을 논증했다. 이 연구는 김유정 문학에 나타난 침묵을 권력의 비판과 들음의 윤리라는 두 가지 양상으로 읽었다. 김유정은 「정조」에서 가부장 인물의 못 들은 척과 침묵을 통해 무능한 권력을 조롱했고, 「만무방」에서 지주의 침묵을 통해 1930년대 자본주의식민 농정의 폭력을 폭로했다. 이 연구는 「만무방」에 나타난 폭력이 말하지 못하도록 만들기, 말하면 그에 침묵함으로써 그 말을 무력화하기의 양상으로 나타남을 살펴보았다. 「생의 반려」에서 침묵이 들리는 말을 듣기가 아니라 말의 자리를 마련하는 듣기임을, 「형」에서 침묵이 억압적 권력에 대한 저항이자 그 권력을 향한 처벌임을 논증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김유정 문학을 듣기의 가능성에 대한 문학적실험이라고 평가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he result of reviewing Kim Yoo-jung's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listening, focusing on Kim Yoo-jung's biography. Kim Yoo-jung used a lot of dialogue between characters in his works. In his works, listening presents the personality of a character, shows who he or she is or operates as an cause for development of events. It also functions as a cause of a tragic ending or as a basis for a subjectivation process of character.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haracters in Kim Yoo-jung's literature try to listen only to what they want to hear rather than what others want to speak accurately, and this is the reason why they cannot solve their problems. It examined that Kim Yoo-jung considered the attitude of listener more important than information delivery. In particular, it demonstrated that in 「Dupojeon」 and 「Sangol」 , there is striking contrast between the tragic end of humans who do not try to listen and the subjectivation process of humans who try to listen.
    This study examined silence in Kim Yoo-jung's literature in two aspects - criticism of power and ethics of listening. In 「Jungjo」, Kim Yoo-jung mocked incompetent power through patriarch person pretending not to hear and keeping silent and in 「Manmubang」, exposed the violence of capitalism colonial agricultural administration in the 1930s through the landlord's silence.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violence appears in the aspect of making it impossible to speak and otherwise neutralizing the words by keeping silent. In 「Partner in the Life 」, it revealed that silence is not listening to words that can be heard, but listening that creates a space for words. In 「Brother」, it showed that silence can be a resistance to oppressive power and a punishment for that power. Through this process, Kim Yoo-jung's literature was evaluated as a literary experiment on the possibility of liste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