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兪得一의 『燕行日記草』에 나타난 대청인식과 의미 (The meaning and recognition in the『Yeonhaeng-ilgicho』of You deuk-il)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5.06
35P 미리보기
兪得一의 『燕行日記草』에 나타난 대청인식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41권 / 41호 / 67 ~ 101페이지
    · 저자명 : 김묘정

    초록

    이 글은 兪得一(1650~1712)의 『燕行日記草』를 중심으로 대청인식 양상을 검토하고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燕行日記草』 연구를 통해 조선 지식인이 가졌던 대외인식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개별 연행 작품 자체의 연구가 미진한 17세기 연행의 한 부분을 해명하였다.
    『燕行日記草』에 드러난 유득일의 대청인식 양상은 세 가지의 면모를 보인다. 먼저 유득일은 형식적 측면에서 전략적 기술의 한 방편으로 고증적 글쓰기를 선택하였는데, 이는 객관성과 사실성을 중시했음을 말하는 것인 동시에 객관적 정세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대명의리론에 입각한 대청의식을 술회하였는데, 유득일은 특정한 지점에서 선택적으로 대청의식을 발현하였다. 비판해야 할 청나라의 모습과 긍정적으로 평가해야 할 것들을 엄정하게 구분하면서 감정적 선입견에서 벗어나고자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청나라의 변모 양상 포착을 통한 의식 변화의 태동을 살펴보았는데 불교, 건축, 풍습에 관심을 기울이고 발전 양상을 고찰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모두 의식 변화의 시작을 암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사유체계에서 모순된 논리들이 충돌하는 시기이자 과도기였던 명·청 교체기 이후 18세기로 이행하는 길목에서 유득일의 태도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정세를 바라보고자 했던 움직임의 시작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is purpose of paper is to reveal and review a recognition against Ching of Yeonhaeng ilgicho(燕行日記草) written by youdeuk-il (1650-1712). According to the Yeonhaeng- ilgicho, it was able to confirm the recognition against Ching(對淸意識) in Choson intellectuals. And to explain the 17th century's Yeonhaeng that is deficient research of individual Yeonhaeng, relatively.
    A You deuk-il's awareness pattern about Ching dynasty in Yeonhaeng ilgicho shows the three aspects. First, he selected the bibliographical writing among the strategical writing method as a formal point of view, that is to say, he attached importance to the objectivity and reality in recognizing the situations.
    Secondly, he explained selectively the recognition against Ching based on the loyalty theory about Ming(對明義理論). Also, he strictly distinguished a critical aspect from a positive evaluation to get out of an emotional prejudice.
    Finally, in terms of the change of recognition through detecting transformation in Chung dynasty, we can realize that he was concerned the architecture and custom of Buddhism, and its development aspect. And these things were seen as the beginning of a recognizing change.
    As a result, This is the time when conflicting theory crash each other after transition period from the Ming dynasty to Ching dynasty. At the time, he's attitude attempted to observe the situation from neutral pos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