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1754-1822)의 산수화 연구 (A Study on Landscape Paintings of Geungjae (兢齋) Kim Deuk-shin (金得臣, 1754-1822))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3.11
34P 미리보기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1754-1822)의 산수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88호 / 191 ~ 224페이지
    · 저자명 : 임미현

    초록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1754-1822)은 흔히 김홍도와 신윤복과 더불어 조선시대 3대 풍속화가로 불리거나 김홍도의 영향을 많이 받은 화가 정도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그는 44년 이상을 국가의 중요한 화업을 담당한 도화서 화원이었으며 잘 알려진 풍속 외에도 인물, 산수, 영모, 화조 등 거의 모든 화목에서 특출난 실력을 뽐내던 당대 최고의 화가 중 한 명이었다. 특히 녹취재(祿取才) 성적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의 산수 실력은 다른 화목에 비해서도 당대 높은 평가를 받고 있었으며, 현재 일부 작품이 전해져 그 면모를 확인할 수도 있다.
    김득신의 산수화는 조선 후기 산수화의 두 흐름인 관념적 이상적 산수를 그린 사의산수화와 우리 산천을 그린 진경산수화가 모두 전해진다. 이를 통해 그의 다양한 작품세계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산수화풍의 다양한 면모와 변천 과정까지도 알 수 있다. 또한 풍속, 도석인물, 영모·화조 등 김홍도 화풍의 영향이 두드러지는 화목에 비해, 산수는 정선, 심사정, 김응환, 김홍도 등 산수 분야에서 큰 업적을 이룬 여러 선배 화가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다른 양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즉, 그의 산수화는 선배 화가의 작품이나 화보 등을 접하고 충분히 습득한 후, 본인의 취향과 선호에 따라 취사선택하여 자신만의 산수화풍을 정립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한편, 김득신의 산수화는 큰아버지 김응환, 친동생 김석신, 아들 김하종 등과도 연관성을 보여 개성김씨 집안 내 화풍도 관찰해볼 수 있다. 김득신의 산수화풍은 정선과 심사정 등의 영향을 받은 김응환으로부터 자극받아 김석신과 김하종 등에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그의 산수화는 개성김씨 집안 내 화풍 정립과 후대 화원화가의 산수화풍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Geungjae (兢齋) Kim Deuk-shin (金得臣, 1754-1822) is known as one of the three genre painters along with Kim Hong-do (金弘道, 1745-1806?) and Shin Yun-bok (申潤福, 1758-1817 afterwards) or only as a painter who had been largely influenced by Kim Hong-do. In fact, he was a 44-year veteran Dohwaseo painter who had participated in important national art projects. Aside from his famous genre paintings, his extraordinary talent in portraits, landscapes, birds and animals, and flowers and animals established him as one of the best painters during the period. Especially, his results in Nokchwijae (祿取才: the state examination for court painters) demonstrates his ability in landscape painting among other themes as well as how much recognition he received at the time; some of these works are currently available.
    Kim Deuk-shin’s landscape paintings carry two styles of landscape painting in Late Joseon Dynasty: literati landscape painting of the ideal and conceptual landscape and true-view landscape painting that painted mountains and rivers in Korea. This allows better understanding of his diverse works, as well as the variety of trends and transformations of the landscap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compared to other themes such as genre, figure painting of Taoism and Buddhism, birds and animals, and flowers and animals that had been apparently influenced by Kim Hong-do’s style, his landscape painting has a different pattern due to being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by a number of preceding painters including Jeong Seon (鄭敾, 1676-1759), Sim Sajeong (沈師正, 1707-1769), Kim Eung-hwan (金應煥, 1742?-1789), and Kim Hong-dothat were largely established in the area of landscape painting At the same time, it is also possible to observe the Gaeseong Kim family’s painting style from Kim Deuk-shin’s landscape paintings as they show association with those of his uncle Kim Eung-hwan, brother Kim Seok-shin (金碩臣, 1958-?) and Kim Ha-jong (金夏鍾, 1793-1875 afterwards). Kim Deuk-shin’s landscape painting style may have been passed on to Kim Seok-shinand Kim Ha-jong through secondary influence from Kim Eung-hwan, who was influenced by Jeong Seon and Sim Sajeong. Based on this, his landscape painting style appears to hav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painting style within the Gaeseong Kim family and on later generations of court pain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