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자인경영에 의한 현대카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연구 -브리짓 보르자 드 모조타가 정의한 디자인경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yundai Card Complex Cultural Space by Design Management -Focused on design management defined by Brigitte Borja de Mozota-)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1.06
12P 미리보기
디자인경영에 의한 현대카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연구 -브리짓 보르자 드 모조타가 정의한 디자인경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4호 / 189 ~ 200페이지
    · 저자명 : 장기민, 이찬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의 복합문화공간은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해가고 있기에 공간 운영에 대한 보수적인 경영활동에서 벗어나 합리성을 추구하는 경영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현대카드는 사용자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도서관의 정적인 개념을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모습을 보이며 문화공간에 대한 차별성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현대카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 특성을 모조타의 디자인경영 관점에서 접근하여 관찰하고자 한다. 디자인경영은 현대 기업 경영의 중요한 토대가 되고 있으며, 기업 경영의 새로운 틀을 제시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문화공간 및 디자인경영의 특성을 알아보고, 현대카드의 복합문화공간과 디자인경영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공간 해석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알리려 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절차는 첫째, 복합문화공간과 디자인경영의 배경 및 특성을 고찰한다. 둘째,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를 통해 이론적 정리를 한다. 셋째, 이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사례 분석의 틀을 도출한다. 넷째, 도출된 디자인경영의 개념을 바탕으로 현대카드 복합문화공간에서 나타나는 디자인경영 특성에 대해 분석한다. 결론에서는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모조타의 디자인경영에 의한 현대카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결과) 모조타의 디자인경영을 통해 현대카드 복합문화공간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첫째, 지역 및 역사성을 고려한 창의적 방식의 융합형 공간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도서관에서의 간접경험이 공간 내에서 더 자세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효율적 형태의 공간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문화적 요소에 대한 시대적 가치를 직접 느끼면서 더 밀접하게 문화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참여 형태의 공간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넷째, 책을 통해 습득하는 정보에 대한 자발적 학습과 실습이 동시에 가능한 자율적 형태의 공간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결론) 디자인경영에 의한 현대카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자율성이 강조된 탈 경계의 특성이 나타난다. 두 번째로 정보와 감각의 효율적인 융합을 통해 다양한 경험이 가능한 공간의 특성이 나타난다. 세 번째로 사회적 참여가 높은 자율형 공간의 특성이 나타난다. 본 연구는 모조타가 정의한 디자인경영을 통해 현대카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을 도출하여 구조화 시켰으며, 인간과 공간 디자인 사이의 가치 전달과 의미작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Complex cultural spaces in modern society are developing in a variety of ways, so there is an urgent need to strengthen management that strengthens rationality, freeing from conservative management activities for space operation. Hyundai Card showed its differentiation by conducting research on spaces that can inspire users and transforming the static concept of the library into a complex cultural space. I would like to approach and observ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card complex cultural space from Mojota's design management perspective. Design management has becom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modern corporate management and presents a new framework for corporate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s and design management, and to inform the space and interpretation methods that provide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lex cultural space of modern cards and design management. (Method) First, the research procedure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design management. Second, theoretical arrangements are made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data. Third, the framework of case analysis is derive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Fourth, based on the derived concept of design management,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management appearing in the Hyundai Card complex cultural space are analyzed. In the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undai Card complex cultural space by design management of Mojota derived through case analysis are summarized. (Result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Hyundai Card complex cultural space through Mojota's design management show: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a fusion-type space in a creative way that considers locality and history are revealed. Second,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an efficient form that organizes the indirect experiences in the library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books can be made in more detail within the space are emerging. Third, there is a spatial characteristic of a participatory form that allows people to communicate with culture more closely while directly feeling the value of the times for cultural elements. Fourth,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n autonomous form that enable both voluntary learning and practice 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books are emerging. (Conclusions) Based on the cas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undai Card complex cultural space by design management are as follows. First, autonomy is emphasized, and the characteristic of breaking out of boundaries appears. Second, through the efficient fusion of information and senses, the characteristics of spaces where various experiences are possible appear.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an autonomous space with high social participation emerge. This study derives and structured the characteristics of Hyundai Card's complex cultural space through design management defined by Mozota, and investigates the value transfer and meaning effect between human and space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