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춤에서 움직임의 흔적과 추상 이미지에 관한 고찰: 트리샤 브라운과 안느 테레사 드 키어스매커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ces of movements and abstract images in dance: Focusing on the works of Trisha Brown and Anne Teresa de Keersmaeker)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1.08
24P 미리보기
춤에서 움직임의 흔적과 추상 이미지에 관한 고찰: 트리샤 브라운과 안느 테레사 드 키어스매커의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무용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79권 / 3호 / 101 ~ 124페이지
    · 저자명 : 박서영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raits of dances which vibrate in diverse ways between abstract and representation, and explore aesthetic meaning and value of abstract images from dance movements. Both choreographers leave abstract images through body movements. But their images are different in terms of form, content, preservation, and display.
    In the works of Anne Teresa de Keersmaeker, abstract images play an important role of adding abstract nature to a piece of work while following the strategies of repetition and deviation used in the ‘geometric abstract’ of visual art. However, abstract images deeply relevant to human bodies are in incomplete forms showing traces of human being and therefore display unique and subtle expressive qualities in contrast with the cool geometric design in visual arts. On the other hand, in the works of Trisha Brown which can be described as ‘expressive abstract’, some of her improvisations are engraved while others naturally disappear. In her works, the movements go beyond the action of drawing abstract images and change repeatedly suggesting new relationship between movements and traces.
    The two choreographers accumulate natural traces which are formed over time in space by leaving movements directly. Ironically, what shows up in the process is concrete images of time and space hidden behind the movements and music faced and felt by the audience. After this research, I am planning to explain whether the abstract images in digital media should be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and conduct an in-depth study on aesthetic qualities created by digital abstract images in dance.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raits of dances which vibrate in diverse ways between abstract and representation, and explore aesthetic meaning and value of abstract images from dance movements. Both choreographers leave abstract images through body movements. But their images are different in terms of form, content, preservation, and display.
    In the works of Anne Teresa de Keersmaeker, abstract images play an important role of adding abstract nature to a piece of work while following the strategies of repetition and deviation used in the ‘geometric abstract’ of visual art. However, abstract images deeply relevant to human bodies are in incomplete forms showing traces of human being and therefore display unique and subtle expressive qualities in contrast with the cool geometric design in visual arts. On the other hand, in the works of Trisha Brown which can be described as ‘expressive abstract’, some of her improvisations are engraved while others naturally disappear. In her works, the movements go beyond the action of drawing abstract images and change repeatedly suggesting new relationship between movements and traces.
    The two choreographers accumulate natural traces which are formed over time in space by leaving movements directly. Ironically, what shows up in the process is concrete images of time and space hidden behind the movements and music faced and felt by the audience. After this research, I am planning to explain whether the abstract images in digital media should be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and conduct an in-depth study on aesthetic qualities created by digital abstract images in d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무용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