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동인형의 미래로서의 영화: 오귀스트 빌리에 드 릴아당의 『미래의 이브』 분석 (Film Media as the Future Automata: an analysis of L'Ève future by Auguste Villiers de L'Isle-Ada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7.06
32P 미리보기
자동인형의 미래로서의 영화: 오귀스트 빌리에 드 릴아당의 『미래의 이브』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72호 / 157 ~ 188페이지
    · 저자명 : 심효원

    초록

    본 연구는 빌리에(Auguste Villiers de l'Isle-Adam)의 장편소설 『미래의 이브』(L'Ève future)에서 등장한 안드로이드 아달리의 특성을 영화 매체와 비교한다. 그리고 그 둘 간의 유사성을 부각시킴으로써 18세기에서 19세기 중반까지 유럽에서 유행했던 자동인형을 20세기 직전에 등장했던 영화의 개념적 전신으로 설정한다. 그럼으로써 자동인형과 영화를 근대적 기술의 실천 차원에서 이해할 뿐 아니라 인간의 모습과 행동을 최신의 기술로 재현하기 위한 욕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주장하려 한다.
    논점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먼저 작품에서 묘사된 안드로이드의 제작 과정, 구성 요소, 기술적 원리는 영화에도 거의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빌리에는 화학과 전기 지식을 끌어들여 안드로이드를 당대 최신 기술이 집결된 것으로서 묘사했다. 마찬가지로 영화 필름은 화학 분야의 비약적 발전의 힘을 입은 신소재 셀룰로이드가 사용되었으며, 영화 장치의 초기 모델은 에디슨이 발명한 것으로 불안정하지만 전기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두 번째, 안드로이드와 영화(특히 초기영화)는 동일한 사운드 재현의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안드로이드가 사람처럼 말할 수 있는 것은 삽입된 내부 증폭기로 먼 곳에서 잠들어있는 기면증 환자인 소와나와 연결되어 그녀의 목소리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영화도 출현 당시 무성영화였고 대신 상영시 외부의 사운드 요소로 보충되었다는 유사함이 있다. 게다가 작품에서의 사운드 원리는 정체성 문제로 이어진다. 소와나는 안드로이드를 통해 대리만족을 얻고 결국 자신의 정체성을 그와 분리시키지 못하게 된다. 소와나가 안드로이드가 연결된 양상은 라캉(Christian Lacan)의 거울 단계 차원에서 정확히 영화를 보는 관객의 경험에 대응한다. 마지막으로 안드로이드와 영화는 둘 다 삶과 죽음이라는 대조적인 양상을 발현시킨다. 그것들은 모두 출산의 과정에 비견될 수 있는 제작 과정을 거친다. 한편 죽음은 보다 근본적이고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인간의 형상과 행위를 기계적으로 재현하기 위한 욕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한 고찰은 근대 기술로 인간을 재현하려는 욕망이 궁극적으로 죽음을 극복하려는 욕망과 관련이 있다는 결론으로 도달한다. 그러나 빌리에의 안드로이드와 마찬가지로 죽음을 극복하려는 영화로부터 죽음을 제거할 수는 없다. 자동인형과 영화의 물적 근본이 죽음을 발현시키고 이는 수용자의 의식과 무의식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전영화사적 장치로서의 자동인형 연구를 통해 삶의 충동과 죽음의 일깨움 사이를 진동하는 영화의 양가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ovides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an android named ‘Hadaly’ in The Future Eve (L'Ève future) by Auguste Villiers de L'Isle-Adam and suggests how these bear a resemblance to film media. Automata prevailed from the 18th to mid-19th centuries and was the forerunner to film media, which emerged in the late 19th century. This argument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automata and film are interrelated, not only in technology practices but also in persistent representation of the human body using non-human materials.
    The research resulted in three primary findings. First, the mechanical components and technical specifications of the android in L'Ève future are similar to those of film. Villiers de L'Isle-Adam based the android's body on modern technology, chemistry, and developments in electricity. Similarly, film consists of celluloid, a synthetic material resulting from chemistry, and in its earliest form by Edison, required electricity. Second, the android and film are identical in terms of ‘voice.’ The android does not actually speak but uses an internal amplifier to project the voice of Sowana, a narcoleptic patient. In this way, it resembles the earliest films did not include sound but was supplemented by external ones such as a speaker, musicians and some sound devices. Identity is also an important aspect of voice in this context; Sowana obtains vicarious satisfaction through the android and cannot separate her identity from that of Hadaly’s. Linked to the android, her experiences are similar to those of spectators watching a film, in terms of ‘the mirror stage’ suggested by Christian Lacan. Third, the android and film both show the contradictory properties of life and death. In life, the production processes for both the android and film can be seen as a metaphor for childbirth. In death, which is fundamental and inevitable, both machines represent humans.
    Thus, the impetus to represent humans is indeed the subjugation of death. Although film media attempts to overcome death, it cannot be completely removed because the mechanical components of automata and film evoke the properties of death, which stimulates both the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of spectat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