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네그리튀드 운동과 마르크스주의의 관계 지도 그리기 (A Mapping of the Affiliation between Négritude and Marxism)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5.06
22P 미리보기
네그리튀드 운동과 마르크스주의의 관계 지도 그리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66호 / 147 ~ 168페이지
    · 저자명 : 이석구

    초록

    네그리튀드 운동이 본격화되기 전에 출간되었던 흑인들의 잡지 『정당방어』나 『흑인들의 외침』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마르크스주의나 초현실주의적인 노력이었지 네그리튀드 잡지는 아니는 말로 무시당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가 취하는 입장은 외래 사상을 받아들였는지의 기준으로 진정한 흑인문화운동인지 아닌지를 평가한다면 『흑인학생』의 창간인들인 세제르, 생고르, 다마스의 활동도 네그리튀드에서 제외되는 모순이 생긴다는 것이다. 너무나 중요한 사실이지만 기성 연구에서 좀처럼 지적되지 않는 사실은, 『흑인학생』의 창간호에서 이 핵심인물들이 외래의 서양 사상으로부터 거리두기를 하는 부분을 찾기가 힘들다는 점이다. 순수한 아프리카의 정신을 노래했을 때조차도 네그리튀드 운동은 마르크스주의와 초현실주의 같은 유럽의 사상과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가 주장하는 바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당방어』에서 시작하여 후기의 세제르와 생고르에 이르는 프랑스어권 흑인문화운동이 마르크스주의를 왜 수용하게 되었으며, 또 어떤 이유에서 거리를 두게 되었는지, 식민 해방 이후 이들이 마르크스주의에 대해서 취한 입장은 이전과 어떤 점에서 다른 것인지를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마르크스주의와 맺은 관계의 사상적 지도를 그려내고자 한다.

    영어초록

    Francophone black journals published in the twenties and thirties, such as Le Cri des nègres and Légitime défense, have been dismissed by Négritude critics as Marxist or surrealist endeavors, not genuine Négritude journals. This paper takes issue with such a dismissal by arguing that if affiliation with European ideas or ideologies is regarded as a disqualifying cause for a négritude, then the movement led by the so-called holy trinity of L’Étudiant noir, that is, Senghor, Césaire, and Damas, should be disqualified too. What does not receive due attention from Négritude scholars despite its crucialness, is that these three key figures of Négritude did not distance themselves from the European ideas or ideologies of their days. In this regard, they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founders of Légitime défense whom Senghor later criticized for their indebtedness to Western ideas. Among the European influences that definitely attracted these black colonials studying in Paris were Marxism and surrealism. This paper brings to light the way the black intellectuals from French colonies adopted and used Marxism, why they then came to distance themselves from it, and how different their positions on it in the postcolonial era were from those in the colonial era. In so doing, this paper maps the trajectory of the affiliation between Négritude movement and Marx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