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죽음의 병’, 혹은 남성적 사랑의 구조적 결함에 대하여 ―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죽음의 병」으로부터 ― (The Malady of Death, On the Masculine Ways of Failing in Love ― focused on Marguerite Duras’s “la maladie de la morte”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0.05
32P 미리보기
‘죽음의 병’, 혹은 남성적 사랑의 구조적 결함에 대하여 ―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죽음의 병」으로부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43호 / 115 ~ 146페이지
    · 저자명 : 신형철

    초록

    이 논문은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단편소설 「죽음의 병」을 출발점으로 삼아 이 소설이 제기하고 있는 질문, 즉 이성애 관계에서 남성적 주체성이 사랑의 관계를 맺는 데 실패하는 방식의 구조를 파악해 보려는 시도이다. 2장은 출발점이 된 소설 「죽음의 병」에 대한 개괄적 분석이다. 이 소설에서 남성-주체는 여성-대상에게 ‘사랑하기’를 실험해 보고 싶으니 실험에 동참해줄 것을 요청한다. 그러나 그는 ‘지배’의 형식과 ‘욕망’의 형식으로 상대방을 대한다. 목표와 모순되는 방법론을 택하고 있음에도 그렇다는 사실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남자를 보며 여자는 그가 사랑을 할 수 없는 어떤 불능의 상태에 놓여 있음을 간파하고 이를 ‘죽음의 병’이라 명명한다.
    3장과 4장은 이 소설이 제시한 남성적 실패의 두 가지 층위를 논리적·개념적으로 재구성하면서 이를 일반적 층위로 확대해보기 위한 시도이다. 3장에서는 루소에서 보부아르에 이르는 고전적 참조문헌들에서 주체와 타자의 관계를 넓은 의미에서 인정투쟁의 일환으로 다룬 대목들을 추출하고, 이를 통해 사랑이 지배로 귀결되는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도출했다. 4장에서는 프로이트와 라캉의 성차(性差) 이론을 참조하여 남성적 섹슈얼리티의 구조 안에서는 ‘사랑과 욕망의 분리’ 현상 및 ‘대상의 이중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것이 남성적 실패의 또 다른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논의했다.
    이 논문은 작품론을 의도한 것이 아니다. 뒤라스의 「죽음의 병」은 논의를 위한 하나의 단서일 뿐인데, 이는 이 소설이 이성애 관계에 내재하는 모순과 균열을 드러내는 범례적 가치를 갖는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현존하는 ‘죽음의 병’을 극복하기 위한 이론적 반성의 일환이 되고자 하는 데 본고의 소박한 목표가 있다. 물론 저 ‘죽음의 병’을 남성 주체의 자연적 조건으로 수락하지 않는 데서부터 모든 변화는 시작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aper begins by responding to a question posed by Marguerite Duras ’ s short novel, “The Malady of Death”. The question is, ‘Why does male identity in heterosexuality tend to fail to form love relationships?’. The second chapter is a introductory analysis of the novel “The Malady of Death”. In the story, the male-subject asks the female-subject to join the experiment because he wants to experiment to love. But he treats his partner in the form of domination and desire. He does not understand the fact that he chooses a methodology that contradicts his goal. The woman discovers that he is in some state of impossibility that he cannot love and she names it a “The Malady of Death”.
    In chapters 3 and 4 we analyze the two layers of masculine failure presented by the story. In Chapter 3, we extracted lines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the other as recognition struggle from classical reference texts from Jean Jacques Rousseau to Simone de Bovoir, thereby drawing up a theoretical framework to analyze the structure in which love results in dominance. In Chapter 4, referring to S.Freud and J.Lacan ’ s theory of sexual difference, we confirmed that within the structure of masculine sexuality there could be separation of love and desire and doubling of partner and diagnosed that this could be another cause of masculine failure.
    The above analysis is primarily intended to understand “The Malady of Death ” . but since the story itself has the paradigmatic value of exposing contradictions and cracks inherent in heterosexual relationships, the analysis of this work is expected to provide a frame for structural analysis of similar types of narrative. Furthermore, it is also part of efforts to critically diagnose and overcome the real-world ‘malady of death ’ (failures of male love). One of the starting points for overcoming that will begin with the refusal to accept that ‘malady of death’ as a natural condition for the male su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