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하림 시에 나타난 풍경의 위상학 - 시집 『풍경 뒤의 풍경』을 중심으로 (Topology of Scenery in Choi, Ha-rim’s poetry - Focusing on the 『The Scenery Behind the Scene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2.06
28P 미리보기
최하림 시에 나타난 풍경의 위상학 - 시집 『풍경 뒤의 풍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84호 / 101 ~ 128페이지
    · 저자명 : 김미라

    초록

    이 글은 ‘보이는 것의 바탕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접근하기 위한 텍스트로 최하림의 시집 『풍경 뒤의 풍경』을 참조했다. 시인이 그에 따른 시적 전략으로 풍경들 사이 ‘소통공간’의 위치를 ‘뒤’의 자리에 두었다고 보고, ‘뒤’의 풍경에 내재한 위상성을 통해 전체 풍경이 개시하는 상황을 주목했다. 이를 위해 ‘앞’과 ‘뒤’의 위치와 방향을 해석하는 준거를 그 용어의 조건과 상황의 근접성에 따라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놓고, 주체와 사물을 개입시키는 사건으로서의 ‘상황’에 따른 풍경들의 관계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현대적 건축 영역의 시도를 전체성 감각의 회복으로 그 출발점을 삼은 베즐리의 소통이론을 참고했다. 시집 속의 화자는 풍경을 통해서 자신의 내면을 응시하면서도, 스스로 풍경이 되고 그 배후가 되기도 함으로써 주체 중심의 시각적 타성을 벗어나고자 한다. 풍경을 바라보는 이러한 태도는 대상을 하나의 시선으로 수렴하지 않으려는 윤리의식의 실천이라고 할 수 있으며, 풍경들 사이를 매개하고 자신과 타자 간의 관계 맺기로 나아가는 문학적 실천이라고 볼 수 있다. 전체의 풍경은 하나의 풍경이 그 자체로 존재함과 동시에, 주체가 그것을 어떻게 지각하느냐로부터 생겨난다. 사물의 전 영역, 즉 풍경의 ‘전경前景’과 ‘후경後景’을 동시에 헤아리는 일은 풍경에 대한 대응과 참여 속에 마련되는 시인의 ‘열린 주관성’에서 비롯된다. 총체적인 세계 인식을 위한 전체 풍경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풍경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필요로 한다. 이를 통해 지각함과 지각되는 일 사이의 관계 속에서 세계의 전체에 근접하고, 이러한 맥락 안에서 보편적 세계가 구성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하나의 풍경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과정을 살펴본 이 연구는 ‘어떻게 살 것인가’의 문제와도 직결된다. 소통공간을 창조하거나 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 편의 시가 불통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문학의 역할을 발견하는 창구가 될 수 있음을 알리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text to approach the question of 'what is the basis of what is seen', referring to Ha-rim Choi's collection of poems 〈The Scenery Behind the Scenery〉. As a poetic strategy accordingly, the poet placed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space' between the scenery in the place of the 'back', and this paper focused 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whole scenery begins through the phase inherent in the scenery of 'back'. For this purpose, the reference for interpre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ront' and 'back' was left open to th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term and the proximity of the situation, and examined the relational aspects of the scenery according to the 'situation' as an event that intervenes the subject and the object. As a data for the analysis, this paper consulted Vesley's theory of communication, which has made the attempt of the modern architectural area as a starting point for the recovery of a sense of wholeness. The speaker in the poetry tries to escape the visual inertia of the subject-centered by staring at his inner side through the scenery, but also by becoming himself a scenery and being behind it. This attitude towards scenery can be seen as the practice of an ethical consciousness that does not want objects to converge with a single point of view, and as a literary practice that mediates between scenery and moves toward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oneself and others. The whole scenery arises from the existence of a scenery in itself, and at the same time from how the subject perceives it. The simultaneous discernment of the whole realm of things, that is, the 'before' and 'after' of the scenery, comes from the poet's 'open subjectivity' which is arranged in the response and participation in the scenery. Reaching the entire scenery for total world awareness require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cenery. It is through this that we can find proximity to the whole of the worl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perceived work, and within this context the universal world is constructed. This study, which examines the process of looking at a scenery as a whole, is also directly related to the question of how to live. In terms of being able to create or initiate a space of communication, I hope that a poem will be an occasion to let modern people living in an era of lack of communication become a window into discovering the role of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