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의 시간 프레임 -‘앞’, ‘뒤’를 중심으로- (Time frames of Korean language -focusing on ‘ap’ and ‘dwi’-)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1.03
40P 미리보기
한국어의 시간 프레임 -‘앞’, ‘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학회
    · 수록지 정보 : 國語學 / 97호 / 215 ~ 254페이지
    · 저자명 : 김현주, 정연주

    초록

    시간은 매우 추상적인 개념이기에 인간의 세계 경험과 단단히 엮여 있는 공간 개념에 기대어 이해되고 표현된다. 지금까지 제안된 유력 시간 프레임 모형은 자아가 시간과 대면하고 있는 상황이 그려지는 대면 모형과, 자아가 필수적이지 않은 순서 모형으로 나뉜다. 대면 모형은 자아 이동 모형과 시간 이동 모형으로 구분되는데 어느 모형이든 자아의 {앞}은 {미래} 쪽을, 시간의 {앞}은 ‘자아’ 및 그 뒤편, 즉 {과거} 쪽을 향해 있다. 순서 모형은 환유적으로 {먼저}를 {앞}, {나중}을 {뒤}로 표현하고 따라서 {앞}은 {과거} 쪽을 향해 있다. 병행 모형, 혹은 평행 모형은 시간을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한 프레임 모형이라기보다는 삶의 양상을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한 프레임 모형이다. 즉 병행 모형은 인간의 삶을 [삶은 시간 속에서 꾸려가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Levinson(2003)의 공간 참조틀 분류와 Tenbrink(2011)의 위치 역할 분류 및 내․외부 참조틀의 구분이 시간 프레임의 정교한 기술에 도움이 된다. 어떤 시간 프레임 모형에 대해서든 {앞}, {뒤} 등이 가리키는 바와 ‘무엇’에 대해 {앞}이나 {뒤}인지 정해주는 기준 등을 구분하여 기술해 보면 문제 사례로 논의되던 예들이 실제로 문제가 있는 것인지 아닌지 비교적 명료하게 정리될 수 있다.
    ‘긴 여름의 앞에 들어섰다.’ 같은 표현은 ‘내부 참조틀’ 시간 프레임이 필요함을 알게 한다. 이 프레임은 {처음}과 {끝}이 있는 구조여야 한다. 본고는 이를 위해 통과 모형과 구간 모형을 제안한다. 통과 모형은 자아가 기간을 가지는 사건․상황을 겪어나가는 일을 마치 입구와 출구를 가진 공간을 앞에서 뒤로 경험해 나가듯 개념화하는 양상을, 구간 모형은 사건․상황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개된 모습을, 시작점과 끝점이 있는 구간으로 개념화하는 양상을 반영한 명명이다.

    영어초록

    Time is a very abstract concept, so it is understood and expressed based on the concept of space which is tightly tied to human experience. The time frame models in the literature are divided into face-to-face models in which the ego faces time and a sequence model in which the ego is not essential. The face-to-face models are divided into the ego-moving model and the time-moving model. In any of them, the face of the ego is toward the future, and the face of time is toward the 'self' and beyond, that is, the past. The parallel model is for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life aspects, not for understanding time frame. The parallel model sees human life as being built within or along with time.
    The spatial reference frame classification of Levinson(2003), the location role classification of Tenbrink(2011) and the division of internal and external reference frames help us elaborate on description of time frame. For any time frame model, elucidating what {front} and {back} point to, clarifying something is {front} and {back} to ‘what’, and such make it rather clear if the well-disputed case examples are actually problematic.
    We realize from the phrase “in the front of a long summer” that it necessitates “internal reference frame” of time, which must be a structure with a beginning and an end. This paper proposes a going-through model and a passage model as a solution. The going-through model reflects the situation where the ego experiences the incident period as if going from the front of a tunnel to its back. The passage model reflects how we conceive an incident developing through the course of time as a passage with a starting and an ending 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國語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