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성오광대 문둥북춤의 춤사위와 연행구조 전승양상 고찰 - 조용배 연행의 문둥북춤을 중심으로 - (Review on succession aspects of direction structure and dancing in Moondoong drum dance by GoseongOgwangdae - Focusing on Moondoong drum dance directed by Yong Bae Cho -)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9.02
39P 미리보기
고성오광대 문둥북춤의 춤사위와 연행구조 전승양상 고찰 - 조용배 연행의 문둥북춤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38호 / 71 ~ 109페이지
    · 저자명 : 박인수

    초록

    본 연구는 고성오광대의 연희자 조용배가 연행한 문둥북춤을 중심으로 춤사위와 연행구조의 전승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용배 이전 문둥북춤을 연행한 홍성락은 주로 굿거리장단에 북을 들고 연행하는 ‘북춤’ 만을 연행하였다. 홍성락이 문둥북춤을 연행하는 과정에서 북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데, 1965년 이전에는 북, 1966년에는 반고, 1967년에는 소고로 변화되며 이후부터는 주로 소고로 연행된다.
    조용배는 1970년부터 문둥북춤을 연행하며, 1972년 8월 이전부터 ‘북춤’과 함께 소고를 바닥에 두고 연행하는 ‘문둥춤’과 덧배기장단의 연행이 추가된다. 1974년 겨울부터 고성오광대 첫 전수를 기점으로 문둥북춤은 음탕한 동작이 사라지고, 양반이라는 설정과 한을 승화하는 내용이 추가된다. 이러한 변화는 통영오광대 문둥북춤의 연행형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용배가 연행한 문둥북춤을 살펴보면 일정한 패턴이 있었다. ‘문둥춤’의 경우 고정된 사위 3개를 중심으로 「고정된 사위」 → 「즉흥무」 → 「뛰기」 (반복)의 형식으로 연행되었다. ‘북춤’의 경우도 고정된 사위 4개를 중심으로 「고정된 사위」 → 「소고 돌리기」 → 「맺기」 → 「즉흥무」 → 「뛰기」 (반복)의 형식으로 연행되었다. 조용배의 ‘북춤’ 사위를 살펴보면 선대연희자인 홍성락이 연행해오던 사위가 많은 부분 남아있어, 이를 정리하고 새로운 춤사위를 더해 연행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용배가 타계한 이후 허종복은 전수를 위해 조용배가 연행한 문둥북춤의 연행구조를 중심으로 춤사위를 조금 더 늘려 완벽한 순서를 지닌 춤으로 정리하였다. 이후 정리된 춤사위의 연행구조를 중심으로 허종원은 다리를 절며 등장하는 장면, 허창렬은 보리를 먹고 기뻐하는 장면, 힘겹게 소고와 채를 잡는 장면 등 사위를 계속해서 추가하고 있다.
    이처럼 조용배는 ‘북춤’만 연행되어 오던 이전 작품에 ‘문둥춤’을 추가하고, 이야기와 한을 담기 시작하였다. 조용배가 연행해온 연행구조는 이후 기본 골격이 되어 이를 중심으로 후대 연희자들이 계속해서 장면을 추가해왔다. 이처럼 조용배는 선대의 문둥북춤을 갈고 닦아 정립하고 발전시켜 후대에게 넘겨준 훌륭한 고성오광대의 연희자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succession aspects of direction structure and dancing were reviewed in Moondoong drum dance succeeded by Yong Bae Cho of Goseong Ogwangdae. Sung Rak Hong who succeeded to Moondoong drum dance before Yong Bae Cho directed only ‘drum dance’ mainly with Goodguri rhythm. While Sung Rak Hong succeeded, the drum of Moondoong Gwangdae became smaller, which was changed from drum before 1965, to semi-drum in 1966 and tabor in 1967 and thereafter.
    Yong Bae Cho succeeded to Moondoong drum dance since 1970, adding ‘Moondoong dance’ directing tabor at the floor together with ‘drum dance’ before August 1972 and directing Dutbaegi rhythm. From the first succession of Goseong Ogwangdae since the winter in 1974, obscene movements were disappeared, and the setting with Yangban and contents to sublimate resentment were added in Moondoong drum dance. These changes seemed to be affected by succession format of Tongyoung Ogwangdae Moondoong drum dance and Ok Jin Gong’s idiot dance. There are succession patterns when reviewing Moondoong drum dance directed by Yong Bae Cho. In case of ‘Moondoong’ dance, repeated forms were succeeded including ‘fixed dance’->’impromptu dance’->’jump’ in center of three fixed dances. In case of ‘drum dance,’ repeated forms were succeeded including ‘fixed dance’->’rolling tabor’->’concluding’ -> ‘impromptu dance’->’jump’ in center of four fixed dances. In ‘drum dance’ by Yong Bae Cho, many parts of succeeded dance by Sung Rak Hong who was a prior successor were remained. After Yong Bae Cho’s death, Jong Bok Heo summarized the dance with more completed order focusing on the structure of Moondoong drum dance succeeded by Yong Bae Cho. Since then, multiple scenes were added continuously including hobbled appearance by Jong Won Heo, happy scene eating barley and scene to catch tabor stick difficultly, by Chang Ryol Heo. Yong Bae Cho added ‘Moondoong dance’ to the prior works only with ‘drum dance’ and started adding the story with resentment. The direction structure summarized by Yong Bae Cho became the basic framework in which the following directors added the scenes very easily. Like this, Yong Bae Cho was an excellent director of Goseong Ogwangdae who inherited Moondoong drum dance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to establish and develop to hand over the next gener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