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적 미의식의 양가적 충돌과 타자적 여성성에 대한 서로 다른 두 시선 연구 ― 너새니얼 호손의 <반점(The Birthmark)>과 김유정의 <안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wo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Ambivalence of Modern Aesthetics and the Femininity of Otherness ―Focusing on “The Birthmark” by Nathaniel Hawthorne and “Anhae(Wife)” by Kim Yu-jeo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2.04
30P 미리보기
근대적 미의식의 양가적 충돌과 타자적 여성성에 대한 서로 다른 두 시선 연구 ― 너새니얼 호손의 &lt;반점(The Birthmark)&gt;과 김유정의 &lt;안해&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30권 / 1호 / 107 ~ 136페이지
    · 저자명 : 표정옥

    초록

    본고는 1843년 19세기 미국의 대표 작가인 너새니얼 호손의 <반점(The Birthmark)> 이라는 작품과 1930년대 20세기 한국의 대표 작가인 김유정의 단편 소설 <안해>에 등장하는 여성성에 대해서 근대라는 의미망을 통해 비교 분석해서 살펴보았다. 여성 의 미의식이라는 측면을 통해 볼 때 김유정과 호손의 작품에는 여성 인물들에 대한 감정이 매우 양가적으로 등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김유정의 작품 중에서 여성의 미모와 관련된 작품 <안해>에 나타난 미적 여성성을 미국의 대표 작 가 너새니얼 호손의 <반점> 속에 나타난 여성의 미의식과 상호 비교해 보았다. 너새 니얼 호손의 작품 <반점>은 완벽주의를 추구하던 어느 과학자가 자기 부인의 얼굴에 난 붉은 반점을 인간이 가지는 불완전함의 상징으로 여기고 없애려다가 그녀를 죽게 만드는 어처구니 없는 이야기이다. 19세기 근대 과학 담론으로서 너새니얼 호손의 <반점>과 20세기 근대 한국의 미적 담론으로서 김유정의 <안해>를 통해 미의식의 충돌과 양가 의식과 타자성 등을 주제학적 차원에서 비교해 보았다. 이를 통해 근대 와 과학과 경제적 자본이라는 담론이 여성의 자아의식 형성과 미의식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그 의미의 미시적인 지층을 들여다 볼 수 있었다. 너새니얼 호손 <반 점>의 여주인공은 자신의 반점을 거슬려하는 남편의 뜻에 따라 반점을 제거하려다가 불행하게도 목숨을 잃고 만다. 하지만, 김유정의 <안해>의 부인은 못생긴 얼굴을 가 졌지만 능력을 신장시켜 가면서 자신의 미적 자존감을 회복하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근대라는 공간에서 과학과 자본의 영향 하에 여성의 미에 대한 다소 다른 담론을 보 이는 너새니얼 호손과 김유정의 작품을 통해 김유정 연구의 새로운 비교문학적 가능 성을 가늠해 보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femininity of Nathaniel Hawthorne, a representa- tive American writer in the 19th century in 1843, and Kim Yu-jeong’s short novel “Anhae(Wife)”, a representative Korean writer in the 20th century in the 1930s. In terms of women’s aesthetic consciousness, it can be seen that Kim Yu-jeong’s work also features very ambivalent feelings for female characters.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compare the aesthetic femininity shown in “Anhae” among Kim Yoo-jung’s works related to women’s beauty with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women in Nathaniel Hawthorne’s “The Birthmark”. Nathaniel Hawthorne’s work “The Birthmark” is a ridiculous story that causes a scientist who was pursuing perfectionism to die while trying to remove the red spots on his wife’s face. Through Nathaniel Hawthorne’s “The Birthmark” as a modern science dis- course in the 19th century and Kim Yu-jeong’s “Anhae” as a modern discourse in the 20th century, I would like to compare the conflict of aesthetics, ambivalence, and otherness from a thematic level. Through this, we will look into the microscopic viewpoint in its meaning as to how the discourse of modernity, science, and economic capital affects women’s self-forming and aesthetic consciousness. The heroine of Nathaniel Hawthorne’s “The Birthmark” unfortunately lost her life while trying to remove the spots according to her hus- band’s will. However, Kim Yu-jeong’s wife of “Anhae” has an ugly face, but she recovers her aesthetic self-esteem by enhancing her ability. Through the works of Hawthorne and Kim Yu-jeong, who show somewhat different discourses on women’s beauty under the influence of science and capital in the space of modernity, I would like to gauge the new comparative literary possibility of Kim Yu-jeong’s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