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횡단적 문화교류를 위한 인문학 연구의 방향 : 엔리케 두셀의 해방 기획에 대한 비판적 수용과 감성인문학 연구의 실천적 활용을 중심으로 (The Direction of Humanities Research for Transversality of Cultural Exchange: Focusing on Critical Acceptance of Enrique Dussel’s Liberation Project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Emotional Humanities 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1.11
28P 미리보기
횡단적 문화교류를 위한 인문학 연구의 방향 : 엔리케 두셀의 해방 기획에 대한 비판적 수용과 감성인문학 연구의 실천적 활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 10권 / 6호 / 285 ~ 312페이지
    · 저자명 : 최혜경

    초록

    학술적 범주에서 로컬 또는 로컬리티를 주목하는 이유는 그 실천적 배경의 탐색에있어 낱낱의 인간이 일상을 조직하는 삶터로서 바로 지역이 우선시되기 때문일 것이다. 행정적 경계로 분할된 지방도 아니고 국가 단위에서 소위 강대국의 중심적 위상에대비되는 하위급으로서 주변부도 아닌, 일상의 주된 동선 반경 속에 생존·생활의 기반을 아우르는 실제적 거처로서 지역 말이다.
    본 연구에서 취하는 관점은 사회적 층위에서 작동하는 감성의 동역학이 그 감성의주체가 발 딛고 선 장소(로컬)의 일상을 위해 무엇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그 조건은 바로 무엇인가 하는 탐색을 향해 있다. 그리고 그 탐색 과정에서 특히 착안하는 지점은지역에 관한 중심-주변 시각에서 벗어나 분권적 횡단형 구조로 글로컬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이론적 검토이다.
    이 글은 감성, 공간, 지역 등에 관한 전환적 착목 중 트랜스로컬리티에 관한 연구 범주에서 학술적 통찰과 감성적 성찰이 로컬구성원 개인의 신체 안에 교차하며 만들어내는 트랜스로컬리티의 발현 가능성을 가정하고 있다. 즉 ‘로컬담론>학술연구>트랜스로컬>로컬담론’의 형태로 순환하는 재귀적 알고리즘을 전제로 하여, 이후 로컬 연구의전환적 이행을 위한 하나의 조건으로서 혹은 인지와 감성이 상호작용하며 내면의 로컬리티를 구성해내는 장소로서 신체의 매체적 기능을 조명하고 있다. 글에서는 먼저, 로컬에 대한 전환적 인식을 제기해 온 이론가(두셀)의 주체적 지위를비판적으로 조명하는 가운데 트랜스로컬 연구의 실천적 조건으로 삼을 수 있는 점을도출해보기로 한다. 특히 세계적 해방 기획으로 제안하는 통근대성(transmodernidad) 이 뜻하는 바를 살펴보면서 이것이 한국 사회의 분권과 횡단에 관한 감성인문학적 논의와 접속할 수 있는 지점을 모색해보기로 하겠다.

    영어초록

    The reason why the local(locality) is noted in the academic category may be that the local is prioritized as a place of life where every single human organization of daily life in the exploration of its practical background. It is not a province as an administrative unit, not a peripheral region as low-level region opposed to the central status of the so-called powerful nation at the national level, but a practical residence that encompasses the foundation of survival and life in the radius of daily life.
    The perspective taken in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the dynamics of emotions operating on the social layer can create for the daily life of the place(local) where the subject of the emotions stand. And the point at which the exploration is conceived is a theoretical review to build a glocal network with decentralized transverse structures away from the central-ambient perspective with respect to the local.
    This article assumes the possibility of the expression of translocality that academic insights and emotional reflection intersect in the individual body especially in connection with translocality study among transitional attention to emotions, spaces, local, etc. In other words, starting with the premise that recursive algorithms that circulate in the form of "local discourse-academic research-translational discourse" can occur or be applied, our body(especially of researchers) can be re-examined as a condition for the transitional implementation of local research.
    With this premise, we would like to critically shed light on the subjective status of theorist (Dussel), who have raised transitional perceptions of locality, and draw points that can be used as practical conditions for translocal research. In particular, looking at the meaning of the “transmodernidad,” which is proposed as a global liberation plan, we will try to find a place where it can access and discuss emotional humanistic discussions on decentralization and crossing of Kore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