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초 문학에 나타나는 국가 정체성 공론화의 두 계보 –箕子의 문화 자주성과 豐沛之鄕으로서의 關北에 관하여- (Two Cultural Streams of Manifesting National Identity in the Early 17th Century Literature –Regarding the Cultural Independency of Jizi and the Awareness of Kwanbuk as a Province of Fengpei–)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3.06
40P 미리보기
17세기 초 문학에 나타나는 국가 정체성 공론화의 두 계보 –箕子의 문화 자주성과 豐沛之鄕으로서의 關北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51권 / 2호 / 109 ~ 148페이지
    · 저자명 : 심규식

    초록

    심규식, 2023, 17세기 초 문학에 나타나는 국가 정체성 공론화의 두 계보, 어문연구, 198 : 109~148 본고는 광해군 시대(1608~1623) 관각(館閣)이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17세기 초의 문인 문화를 수용하여 금석문(金石文)을 포함한 관각문학 작품, 서적(書籍), 전례(典禮) 등을 통해 명문화한 양상을 추적함으로써, 조선시대에 국가가 문화 주체로서 국가적 의제를 다룬 방식의 일단(一端)을 살핀다. 이때, 당쟁으로 인한 권력 이동과 관련 없이 비교적 보편적 인식에 기반을 두고 전개된 두 가지 활동에 주목한다. 첫째로 기자(箕子)의 문화적 정체성 규정에 대해서는, 임진왜란(壬辰倭亂) 이후 기자의 불신(不臣) 논리와 기전제(箕田制)의 별도 계통설이 문인들에 의해 정밀화된 이후 「숭인전비(崇仁殿碑)」, 『기전고(箕田攷)』 등으로 공식화되었음을 밝힌다. 둘째로 왕실 발상지로서의 관북(關北) 정비 사업에 대해서는, 관각문인들의 문학에서 체험을 바탕으로 풍패지향(豐沛之鄕)의 성격을 강조한 작품이 크게 증가한 이후 「성조잠저하마비(聖祖潛邸下馬碑)」를 비롯한 왕실의 금석문과 함흥본궁(咸興本宮)의 전례가 정비된 점에 주목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case study of the Kwanghaegun era (1608–1623) court’s activities to establish a national identity in the court literature, books, and rituals, focusing on two major themes that share cultural consensus on the early 17th century literati. In the first chapter, this article analyzes the discourse on the cultural independence of Jizi. This chapter mainly discusses the inclusion of Chosŏn literati’s notion of Jizi’s “refusal of vassalage” and “separate lineage” of his well-field system in the court’s official works, including "Sunginjŏn pi" and Kijŏn’go. In the second chapter, this article presents remarks regarding the revitalization of Kwanbuk (the northern province) as the origin of the royal family. This chapter argued the literati’s active compositions that were based on the experience in Kwanbuk preceding official epigraphs, including “Sŏngjo chamjŏ hamabi” and rituals in Hamhŭng Pon’gung (the palace of the origin). Based on these two cases, this article aimed to demonstrate how the Chosŏn court adopted the culture of contemporary literati in national agend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