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3차원 모핑기술과 융합된 라인업 모델의 디자인 체계와 형상요소의 전이에 관한 연구 - 두 브랜드 모델의 정점 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Form Factors with the Design System of the Lineup Models that It is Fused with 3D Morphing Technology - Focused on the Vertex Change of Two Brand Models -)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6.09
10P 미리보기
3차원 모핑기술과 융합된 라인업 모델의 디자인 체계와 형상요소의 전이에 관한 연구 - 두 브랜드 모델의 정점 변화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25권 / 217 ~ 226페이지
    · 저자명 : 석재혁

    초록

    디자인정체성 확립을 위해 형상 요소의 변화에 따른 실험적 적용사례와 구체화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다. 그러나 지속적 관점에서 라인업 모델들을 중심으로 형상 변화를 체계화 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따라서 세대별 출시모델의 형상 변화 폭과 방향성, 출시간격을 복합적으로 진단하고 파악할 수 있는 디자인체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의 배경 및 목적에서는 제품의 외관 이미지를구성하는 형상 요소의 실체를 파악하고, 제품의 출시간격과 라인업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디자인 체계의중요성을 언급하였다. 특히 라인업 모델들의 형상 변화 과정에서 형상 요소의 전이 과정을 파악하는 것은향후 출시 모델의 방향을 예측하거나 관철시키기 위한 전략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범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디자인정체성이확보된 두 브랜드의 출시모델들을 대상으로 라인업이미지를 수집하였고, 캐릭터가 가장 강한 일부 형상요소를 연구범위로 제한하였다. 그리고 라인업 모델들의 형상변화 체계와 형상요소의 전이에 관한 연구를 위해 3D 모핑(Morphing)기술과 융합된 분석과정을제시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B’사와 ‘A’사의 최초 원형모델부터 최근 모델까지 3차원 모델링 이미지를 순서대로 배열하였다. 이후, 캐릭터가 강한 형상요소인 ‘그릴’과 ‘헤드램프’의 네 모서리에 존재하는 정점(Vertex)의 위치가 다음 모델로 모핑(Morphing) 되는 지점을 연결하여 형상 요소의 전이 과정을 도식화하였다.
    분석 및 종합에서 라인업 모델 전체의 형상 변화에대한 흐름을 도출하였고, 최초 원형모델(The original form)을 기준으로 디자인 핵심영역(Core area)과 핵심영역에서 이탈된 전이영역(Transition area)의 범위와틀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점(Vertex) 변화를 중심으로 라인업 모델의 형상요소 전이에 대한실증적 분석 결과가 입체적으로 체계화 되었고, 경쟁브랜드와의 라인업 체계를 비교할 수 있는 전략적인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3D 모핑(Morphing) 기술과 융합된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형상요소의 전이에대한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영어초록

    There are diverse studies on experimental application cases and materialization according to change of form factors to establish design identity.
    However, from a continual viewpoint, studies to systematize the form change focused on a line-up of models are insufficient. So, it is important to secure design systems to diagnose and grasp the width of the form change, directional nature, and release intervals of models per generation.
    In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true natures of form factors which consist of external images of products are apprehended. Plus, importance of the design systems to comprehend release intervals and changes of the line-up of products is stated. In particular, to grasp a transition course of the form factors in the process of the form change of the line-up of models can be used as a strategic method to predict or push on directions of models to be released in the future.
    The study range and method are like the next.
    Targeting release models of two brands that the design identities were secured, the line-up of images was collected. The study range was restricted to some form factors with the strongest characters. And, to study the system of the form change of the model line-up and the transition of the form factors, an analysis course mixed with 3D morphing technology was proposed. From the first original models of company ‘A’ and ‘B’ which were selected as study targets to latest models, 3D modeling images were arranged in order. Then, by linking points that locations of vertexes existing on the four corners of a ‘grill’ and a ‘head lamp’ as form factors with strong characters are morphed to next models, the transition course of the form factors was diagrammatized.
    Flows on the form changes of the whole line-up model were extracted in analysis and synthesis.
    Based on the first original forms, ranges and frames of the core area of design and the transition area disjoined from the core area could be confirmed. In conclusion, centered on change of vertexes, empirical analysis result on the transition of the form factors of the line-up models has been systematized tridimensionally. A strategic approach method to compare a line-up of systems with rival brands was presented. Also, by using the analysis method blended with the 3D morphing technology, scientific and empirical analysis result on the transition of the form factors was extra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