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두 스콜라 철학자의 「요한복음서」 서문 주해 -“In principio erat verbum”에 대한 토마스 아퀴나스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주해 요약 및 번역- (Two Commentaries on the Prologue to the Gospel of John in the Scholasticism)

5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7.12
59P 미리보기
두 스콜라 철학자의 「요한복음서」 서문 주해 -“In principio erat verbum”에 대한 토마스 아퀴나스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주해 요약 및 번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세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세철학 / 23호 / 253 ~ 311페이지
    · 저자명 : 이상섭

    초록

    「요한복음서」, 특히 그것의 서문에 해당되는 부분은 서양의 철학 및 신학의다양한 유파들이 공유하는 중요한 정신적 자산으로서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가진학자들의 주해대상이 되었다. 13 후반, 14세기 초의 도미니코 교단의 두 신학자인토마스 아퀴나스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도 각각 자신의 방식으로 요한복음서서문을 주해하였다. 이 연구는 요한복음서의 첫 구절에 대한 토마스와 에크하르트의주석을 번역함으로써 삼위일체론에 대한 다양한 해석방식의 두 가지 사례들을소개하려 한다. “한 처음에 말씀이 있었다”라는 요한복음서 첫 구절을 토마스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명제론』 의 의미론을 가지고 설명한다. 그는 인간지성뿐만 아니라 신적 지성에도 외적인 말이 지시하는, 지성이 이해를 하면서지성 안에 형성한 것인 내적인 말을 정립하는 것이 필연적임을 보인다. 그리고이를 통해서 신적 지성에도 신적 지성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신적 지성과구분되지만 본질에 있어서 신적 지성과 하나인 신적 말씀을 상정하고, 이를 제1위격으로부터 제2위격의 발출의 설명에 적용한다.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는 같은 구절을자신이 구성한 ‘본질적 원리’ 이론을 토대로 원리 지어진 것의 원리 안에서의 존재 방식에 대한 형이상학적 고찰, 이에 대한 사례로서 의로움 자체 안에서의의로운 한에서의 의로운 자의 존재, 그리고 성서의 원상과 모상의 관계라는 세단계를 통해서 설명한다. 이를 통해서 토마스와는 다른 방식으로 제1위격으로부터제2위격의 발출에 이성적 설명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The Gospel of John, especially its prologu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estern spiritual heritage which many theologians as well as philosophers share. It has been commented by various authors. Thomas Aquinas and Meister Eckhart from the Dominican Order in 13th, 14th century also composed the commentaries on the prologue to the Gospel of John in their own ways.
    Translating and comparing their commentaries on John’s Gospel, this study introduces two examples of the various ways of interpreting the theory of Trinity. Thomas Aquinas interprets the first phrase of John’s Gospel,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with the help of Aristotelian theory of signification in his De Interpretatione. He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posit even in God the inner word which is formed by the intellect and signified by the external word. Aquinas applies this theory of Divine Word, according to which the Divine Word is distinct from the Divine Intellect by the fact that it is formed by and proceeded from the latter, but is nevertheless absolutely one with it in substance, to the explanation of the procession of the second Divine Person from the first Divine Person. Meister Eckhart, on the contrary, gives an explanation to the same phrase, going through three stages: the metaphysical theory about the existence of the principate in the principle based on the theory of principium essentiale, the explanation of the just as such in the justice giving birth to the just as such, and finally the theory of exemplar-imago. In this way he tries to give a rational explanation to the procession of the second Divine Person from the first Divine Per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세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