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물때력(潮汐曆)의 두 체계 -‘7물때식‧8물때식’의 실효성과 의도성에 대한 추론- (Two Systems of the Tidal Calendar in Korea-Inferences on the Effectiveness and Intention of the 7th-Day Tidal System and the 8th-Day Tidal System-)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0.10
43P 미리보기
한국 물때력(潮汐曆)의 두 체계 -‘7물때식‧8물때식’의 실효성과 의도성에 대한 추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72호 / 161 ~ 203페이지
    · 저자명 : 송기태

    초록

    우리나라의 물때체계는 7물때식으로 불리는 서해안형과 8물때식으로 불리는 남해안형이 병존하고 있다. 두 개의 물때체계는 일반적인 지역 단위의 문화형처럼 존재해온 것일 수 있지만, 일정한 지점을 기준으로 물때라인을 형성하고 있어서 면밀하게 계산되고 의도된 역법으로서 가능성이 충분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먼저 물때라인을 구체적으로 구획하였다. 근래에 물때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두 개의 물때체계를 구획하는 경계점이 파악되었는데, 본격적인 논의를 위해 기존 자료를 섭렵하면서 장흥 회진지역에서 청산도와 평일도를 거쳐 제주도를 동․서로 구획하는 물때라인을 구체화하였다.
    다음으로 두 개의 물때체계와 지식이 실효성이 있는 것인지 파악하기 위해 국립해양조사원의 조석데이터를 파악하여 유의미한 지점의 1년간 조석을 분석하였다. 물때력이 달력과 달리 독자적인 역법을 구축하고 있는만큼 그 시작점에 해당하는 ‘한물’의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파악하고, 민간의 물때체계와 지식의 실효성을 주목하였다. 그 결과 서해안과 남해안의 물때가 과학적으로도 1일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고, 민간에서 일명 ‘조금’ 시기라고 인식하는 3일 정도의 기간과 그 이후 ‘물이 살아난다’는 시점 또한 조석데이터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민간의 물때라인은 전라도 남해안을 가로질러 제주를 동서로 양분하는데, 조석데이터는 서해와 남해가 갈라지는 진도의 조도군도가 기준점으로 파악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민간의 물때라인이 왜 조도군도를 기준점으로 하지 않는가에 대해 추론했다. 조석데이터에 의한 기준점은 자연현상을 그대로 반영한 것일 뿐 역법으로서 기능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물때력은 하루 단위로 세어가기 때문에 날짜 구분에 대한 기준점이 필요하다. 따라서 물때력의 기준을 ‘한물’ 때의 간조시 자정(子正) 시간으로 비정하고, 물때라인과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물때라인은 ‘한물’ 때의 간조시 자정 라인과 유사한 경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물때력과 물때라인이 역법으로서 시간의 합법칙성을 갖추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성글게나마 물때를 역법의 체계로 파악하기 위해 전통지식으로 전승되어온 물때체계와 현대의 과학적 조석데이터를 비교하였고,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했다고 판단한다.

    영어초록

    Korea has two tidal systems: the west coast type which is called the 7th-day tidal system and the south coast type which is called the 8th-day tidal system. The two tidal systems may have existed as forms of ordinary regional culture, but since their tidal lines are drawn along certain geographical places they have enough potential to be recognized as carefully calculated and intended calendar systems. Based on this assumption, specific tidal lines were drawn.
    Then,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two tidal systems and knowledge of them are effective, the tidal data from KHOA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were consulted for analysis of the tides for one year at significant points. Unlike ordinary calendars, the tidal calendar has its own unique system. Hence, this study intensively focuses on the data on ‘hanmul’,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tidal calendar, and pays attention to the effectiveness of popular tidal systems and knowledge of them. Analysis of the tidal data confirms that scientifically, there is a difference of about 1 day between the west coast tide and the south coast tide and there is a period of about 3 days that folklore identifies as the ‘neap tide’ period, and there is a period that is commonly referred to as ‘water comes to life’.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at the tidal line of folklore cuts across the southern coast of Jeolla Province and divides Jeju Island into east and west but the tidal data from KHOA identifies the Jodo Islands in Jindo, which divides the west coast and the south coast, as the baseline.
    Lastly, inferences were made on why the tidal line that has been passed down among people does not use the Jodo Islands as a reference point. The baseline drawn by tidal data from KHOA reflects natural phenomena as they are, and cannot function as a calendar system. Since the tidal calendar is based on counting on a daily basis, it needs a reference point to count days. Therefore, this study has set the criterion for the tidal calendar as the midnight time at the ebb tide during the ‘hanmul’ period, and examined its relationship with the tidal line.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the tidal line forms a boundary similar to the midnight line at the ebb tide during the ‘hanmul’ period. From this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tidal calendar and the tidal line have validity for a calendar system. In order to understand the tide as a calendar system, this study has compared the tidal systems that have been passed down as traditional knowledge and the modern scientific tidal data. The results seem significant for understanding the tide as a form of calendar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7 오후